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기전문화연구 제45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19세기 한글본 서울지도 「경조오부도」와 「한성부지도」의 지명 특성 및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ce Names in the 19th-Century Korean Maps of Seoul, ‘GyeongjoObuDo’ and ‘HanseongbuJido’

DOI : 10.26426/KCS.2024.45.1.157
  • 44

본 연구는 19세기 한글본 서울지도인 「경조오부도」와 「한성부지도」에 표현된 지명, 하천, 도로 등을 통해 당시 서울의 모습을 확인하고, 특히 지명의특성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경조오부도」는 『대동여지도』의 「경조오부도」를저본으로 1884년 미국 공사관의 무관 조지 포크가 제작한 지도로, 한글과 영어가 혼용된 외국인 사용 지도이며, 총 184개의 지명을 포함하고 산, 하천, 도로를 색상으로 구분해 표현하였다. 「한성부지도」는 1900년 양지아문에서제작된 지도로, 한자와 한글이 병기된 지명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총 420 개의 지명을 포함하고 있다. 이 지도는 시설물이 가장 많은 유형을 차지하며, 고유한 한글 명칭을 사용하여 당시 지명의 독창성과 역사성을 보여준다. 두지도는 서울의 주요 지명과 교통로, 방어시설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당시의 언어적 특성과 지역적 특색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글본 지도가 단순한 지리적 정보를 넘어, 19세기 서울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을 반영하는 중요한 사료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한글본 지도의 체계적인 연구와 분석을 통해 당시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심도 있게 이해할 수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지도의 내용 요소와 표현 방식을 넘어, 담겨 있는 사회상, 문화상, 세계관의 변화 등에 대한 해석이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geographical names, rivers, and roads depicted in the 19th-century Korean maps of Seoul, 'GyeongjoObuDo(京兆五部圖)' and 'HanseongbuJido(漢城府地圖)' to understand the appearance of Seoul at that tim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geographical names. 'GyeongjoObuDo' was created in 1884 by George Foulk, an American diplomat, based on the 'GyeongjoObuDo' from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 This map, used by a foreigner, contains a mixture of Korean and English names, with a total of 184 geographical names, and features color-coded representations for mountains, rivers, and roads. 'HanseongbuJido' , created in 1900 by the Yangji Office(量地衙門), includes numerous geographical names written in both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totaling 420 names. This map predominantly features facilities and uses unique Korean names, showcasing the originalit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geographical names of that era. Both maps detail the major geographical names, transportation routes, and defense facilities of Seoul, reflecting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features of the time.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se Korean maps are important historical sources that reflect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of 19th-century Seoul beyond mere geographical inform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research and analysis of these Korean map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time. Such research requires interpret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worldview changes embedded in the content and representation of the maps.

1. 머리말

2. 1861년 한글본 「경조오부도」 분석

3. 1900년 한글본 「한성부지도」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