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움직이는 물체의 탐지에 있어서 대비 감민도와 시력의 역할

The Roles of Contrast Sensitivity and Visual Acuity in the Detection of Moving Objects

  • 84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두 실험들은 정현파 격자무늬(sine wave gratings) 자극 패턴들을 사용하여 시력과 대비감민도가 정지된 물체나 그 크기가 시간에 걸쳐 변하는 물체의 탐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검토하였다. 두 실험에 걸쳐 일관된 결과는 적어도 랜돌트 링 표준시력검사로 측정된 사람의 시력이 물체의 비교나 크기 판단반응의 속도나 정확성에 아무런 영향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판단해야할 물체를 이루는 공간빈도와 대비 수준이 사람들의 수행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실험1에서는 두 비교 패턴의 공간빈도가 2일 때 동일 판단을 내리는 반응시간이 가장 느렸다. 실험2에서는 크기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정현파 격자무늬에 있어 특정 크기를 탐지할 때 공간빈도가 4인 경구가 다른 자극 조건들에 비해 더 느린 탐지반응 시간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합적으로 정적 물체이든 동적 물체이든 시력과는 무관하게 대비감민도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Using sinewave gratings varied in contrast and spatial frequency, two experiments explored relative effects of contrast sensitivity and visual acuity on detecting either stationary or moving targets. Visual acuity, as measured by a Landolt Ring test, did not affect the subjects' decision times and accuracy, whereas spatial frequency and contrast did. For the same response, the longest reaction time was observed for the sinewave gratings of 2 cycles per degree. When the subjects were required to detect sinewave gratings whose size changed over time, those gratings of 4 cycles per degree showed the slowest reaction times. The pattern of results of two experiment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visual acuity, the subjects' contrast sensitivity is very important in detecting various objects, be they moving or not.

실험1 : 시력과 대비감전도가 정지된 물체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

실험2 : 시력과 대미감민도가 크기가 변하는 물체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