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서울과 상해의 GIS구축전략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GIS in Seoul and Shanghai

  • 85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서울시와 상해시의 GIS 구축에 따른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상호 보완적인 구축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물론 두 도시의 체제와 성장배경, GIS 구축기반의 차이에 따라 상호 직접적인 비교분석이 어려울 수도 있겠으나, GIS의 구성요소와 발전단계, 조직과 인력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장단점을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서 두 도시의 보다 강력한 GIS 발전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제도적인 측면에서 상해시측회원과 같은 지리정보와 측량, 더 나아가서 지적관리를 포함하는 관련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기구의 설립과 전문인력의 지속적인 교육이필요하다. GIS 데이터의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주기적인 수정·갱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뢰를 확보해야 한다. GIS의 효율적인 구축과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정보기술아키텍쳐(ITA)를 이용한 통합 GIS 구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지리정보의 내·외부적인 활용과 유통의 극대화를 기하기 위하여서는 Web GIS를 이용한 지리정보의 적극적인 공급과 홍보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GIS development strategy fo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 an Shanghai. It was conduct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SMG and Shanghai that are the are the great cities among the east Asian cities. By the different urban system and GLS infrastructure of two cities. it will be difficult to do the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comparing of two cities' GIS development phase, application and organization. etc., their strength and weakness will be found. The more robust GIS development strategy for them will be suggested. To integrate and utilize the GIS system fully. Spatial Date Warehouse(SDW). 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ITA). WEB GIS and special GIS organization. etc. have to be introduced.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서울시의 GIS 현황과 문제점

3. 상해의 GIS 현황 및 문제점

4. 서울과 상해 비교분석의 시사점

5.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