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술발전이 G5와 동아시아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분석

Analysis of Productivity Growth in G5 and East Asian Economies

  • 215
커버이미지 없음

G5와 동아시아 국가들(NICs)의 경제성장 요인을 분석한다. Krugman(1994)에 의하면, NICs의 빠른 성장의 원동력은 총 요소생산성의 증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생산요소의 양적 증가에 기인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G5와 NICs간의 생산기술 격차는 좁아질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한편, Collins and Bosworth(1997) 등은 총 요소생산성의 증가가 빠른 성장의 원동력이었다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콥 다글라스 생산함수를 이용한 Meta 생산함수를 도입하여, NICs의 경우 지난 40년간 빠른 성장의 이면에 충분한 생산성 증가가 이루어졌으며, 그 정도는 G5의 생산성증가율을 능가하였으며, 그 결과 두 그룹간의 생산기술 격차와 일인당 산출량 격차는 점차 작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MICs는 G5보다 기술수준이 낮아서, 같은 양의 산출량을 생산하는데 더 많은 노동량을 사용하지만, 필요한 자본량은 비슷하게 나왔다. 선진국의 경우, 높은 생산기술로 일인당 산출량이 높은데, 이는 노동의 효율적 이용을 의미한다.(JEL:O4, D2, F4)

Previous researchers reported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economic growth of the East Asian countries (Honk Kong, Singapore, South Korea, and Taiwan) is capital accumulation in contrast to the case of the G5 industrialized countries (United States, Japan, Germany, United Kingdom, and France) in which technical progres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aper, the same hypothesis is tested based on the meta production function which uses efficiency equivalent inputs for the Cobb Douglas function. The technical progress was faster in the NCIs than those of G5, an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echnical efficiencies shows modest convergence between the technologies of the two groups. For both G5 and NICs, increased technical level decreased the necessary amount of labor input, but necessary amount of capital input was more or less the same.

Ⅰ. 서론 및 기본 모형

Ⅱ. 모형의 설정및 추정방식에 대한 연구

Ⅲ. 모형의 추정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