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평생학습도시에 대한 소크라테스 변명

Socrates' Excuse for a Lifelong Learning City

  • 645

평생학습도서는 죽어가는 지역공동체를 학습을 통하여 다시 살리자는 학습 공동체 부활 운동이다. 현재 평생학습도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론적·논라적 기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글에서 연구자는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 초기의 단계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비판적 문제 제기에 대한대답으로,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과 지역인적자원개발 시범지역 조성사업 간의 차이점에 대한 대답으로, 마지막으로 참여정부 들어서 ‘지역균형발전’의 시대를 맞이하여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의 논적 근거를 좀 더 확실히 다질 필요성에 대해 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도시 조성 사업 자체가 지역혁신체계(RlS: Regional Development System) 구축과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에 각종 지역육성 관련 사업의 핵심은 ‘학습’이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출발한다. 연구자는 구체적으로 1) 평생학습 도시는 학습사회론(Learning Society)에, 지역인적자윈개발은 학습경제론(Learning Economy)에 기초 해 있다. 2)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을 중심으로 유사지역사업을 연계해야 한다. 3) 일본형 학습도시에 유럽형 학습도시를 결합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4) 학습도시사업을 통하여 지역의 평생학습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 5) 평생학습도시 조성 전문가, 일본판 코디네이터와 에니메이터를 양성해야 할 때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6) 평생학습도시 조성정책 추진에 있어서 상향식 접근과 하향식 접근이 절충의 묘를 보이는 제3의 길을 걸을 것을 건의한다.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a leaming-community restoration campaign that aims to revive a dying community through education. Currently, a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in progress, but some questions have been raised as to the theoretical and logical basis. This paper provides the answers to the diverse critical questions raised in the initial stage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nd the question on the differences between a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nd the community'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ity project. Also, it provides a firm theoretical basis for the necessity of the project, fac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era supported by Participatory Government. Because this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shares the same basis as that of the regional building innovation system(RIS), it starts from the hypothesis that the core of various community-fostering projects should be "learning'. In this paper, I propose as follows: 1)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based on the Learning Society while the community's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ity project is based on the Learning Economy; 2) Similar kinds of community businesses should be linked centering on a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3) Efforts to combine a Japanese-type learning city with European-type learning cities are required; 4) Th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by the community should be increased through the project; 5) It is the time to foster specialists for life-long learning city planners and Japanese-type coordinators and animators; and, 6) For promoting a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 third way that combines upward approaches and downward approaches is required.

요약

1. 문제의 제기

2. 학습도시 대두의 논적 근거

3. 맺음말: 논의 및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