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통합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tic Review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 547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통합교육 관련 연구 논문들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추후 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툭수교육관련 논문집 9종과 일반교육관련 논문집 2종에 발표된 통합교육관련 논문 총 150편을 선정하여 발표년도별 발표학술지와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994년 이후 통합교육관련 논문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외 일반교육관련 학술지에도 많은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바법 면에서는 조사연구, 문헌연구, 실험연구의 순으로 세 가지 형태의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셋째, 연구주제는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 교수 방법 및 전략, 통합 교육에 관련한 일반적인 논의 및 교육과정과 평가, 제도 및 행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에 근거한 분석결과, 유아 교육기관과 초등교육기관에 속한 교사와 아동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in Korea. To do this, 150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rom nine journal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 and two journal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he 150 pap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years of publication, journals of publication, method of research, the main topics of research, and subjects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as follows : 1)The research number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greatly increased afterwards 1994 and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2)The methodology of researches were varied as the review of survey study, research papers, experimental study and the others. 3)The main topics of researches were general discuss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e attitude and apprehension of related person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curriculum and methods of teaching. 4)The research subjects were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re were very little on parents. Based on this results, we discussed and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on inclusive education.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