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tical Literature Review: The Transition from In-Home Care to Institutional Car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US
A Critical Literature Review: The Transition from In-Home Care to Institutional Care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US
-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간호와 보건과학
- 제8권 제1호
-
2004.0258 - 68 (11 pages)
- 51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간호 부담의 증가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치매노인의 장기간호 시설 입원이 서구사회와 같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을 돌보는 데 있어 가족의 역할을 중요시해온 한국의 전통적 가치관에 비추어 볼 때 최근의 사회적 변화로 인한 가족 간호의 역할 감소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찍이 치매노인환자의 장기간호 시설로의 입원이 보편화된 미국의 치매환자 가족의 가정에서 시설로의 간호의 전환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한국 상황에서 의 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치매환자의 장기 간호시설 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기간호시설로의 입원결정과 관련된 가족의 경험, 시설 입원 후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및 만족도, 가족의 환자 간호에의 계속적인 참여경험 및 관련 질적 연구에 대한 문헌이 고찰 및 분석되었다. 문헌고찰의 결과로서 한국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 한국 사회에서 치매환자의 실제 장기 간호 시설 입원률과 현황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치매환자의 장기 시설 입원을 촉진시키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3) 치매환자를 장기 간호 시설로 입원시키는 가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 가정에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과 시설 입원 가족의 부담감과 만족도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5) 시설로의 입원이 치매노인 본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troduction
Method
Results
Referenc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