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메기(Silurus asotus)의 질병에 관한 연구 Ⅱ. 비브리오병에 관하여
Studies on disease of catfish(silurus asotus) in Korea Ⅱ. Pathology on vibriosis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 제2집
-
1994.1297 - 106 (10 pages)
- 25
발병한 양식 메기로부터 vibrio속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생물학적 생화화적 특성에 기초하여 동정한결과 V.ordalii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은 glucose, lactose, maltose와 salicine으로부터 산을 생산하였으며, arabinose, galactose, inocitol과 xylose는 이용하지 못하였다. 분리된 V.ordalii를 각각 KL-1, KL-2라 명명하였다. KL-1과 KL-2는 생리학적 특성이 유사하였다. 즉, pH 5-10, NaCl 0%-6.0%에서 발육하였으며, 또한 NaCl 7.0%, pH 10이상 그리고 pH5이하에서는 발육하지 않았다. KL-1균주를 건강한 메기에 인공 감염시킨 결과 양식장에서 발병된 증상과 동일한 출혈성 궤양이 유발되었다. 감염 24시간 후에 나타난 붉은 반점은 접종 부위 주변에서부터 확장되기 시작했으며, 감염 120시간 후부터는 배지느러미 부위까지 궤양이 확장되었다. 각각 온도에 따른 실험에서는 25℃에서 폐사율이 70% 로 나타났다. 약제 감수성 시험에서 KL-1과 KL-2 균주는 모두 GM, K, N, S와 SxT에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CF 및 L₂와 VA에는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Two vibrio sp. strains were isolated from disease catfish(Silurus asotus). The present isolates were identified as Vibrio ordalii based on their 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y were positive for acid production from glucose, lactose, maltose, sucrose and salicine, while negative for arabinose, galactose, inocitol and xylose. They are named KL-1 and KL-2. KL-1 and KL-2 strains were similar to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 growth was observed at pH 5 to 10 and in 0% to 6.0% NaCl. Two strains did not growth at a concentration above 7.0% NaCl and pHIO. This bacterium was injected into health catfish hypodermically. Such injection was found 10 induce haemorrhagie ulcers very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naturally infected fish. At 24h post-infection, the red spot developed around the injection site and grew bigger to from a red Sport area. At 120h post-infection, the muscle ncerosis was extended near the ventral fin. The seventy percent lethal dosage was appeared to water temperature at 25℃. Two strains were tested for drug senistiveity by plate method. KL-l and KL-2 strains were sensitive to GM. K. N. S and SxT, but resistant to CF. L₂and VA.
국문초록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고찰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