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tial Choices in Narrative by a Young Korean Learner of English
Referential Choices in Narrative by a Young Korean Learner of English
- 영미어문학회
- 영미어문학연구
- 영미어문학연구 제19집 2호
-
2003.0873 - 92 (20 pages)
- 17
이야기체 담화에서 사용되는 지시체 표현(referring expression)에는 지시체(referent)를 담화에 처음으로 소개하는 경우와 그것을 계속 유지하거나 새로운 지시체의 등장에 의해 지시체가 교체되는 경우, 또한 이전의 지시체로 다시 돌아가는 경우등이 있다. 이때 지시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는 대명사와 명사, 정관사, 부정관사 등이 있는데 이것들의 적절한 사용은 담화의 일관성과 적절성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영어를 배우는 한국인 어린이 학습자가 이야기 구연에서 어떻게 지시체 표현의 사용을 습득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어린이 학습자는 언어 습득단계에서 아직 성숙되지 못한 언어 사용자로서 많은 언어 사용상의 제약을 갖고 있다. 특히 이야기체에 한 명 이상의 등장인물이 나타날 때는 지시체의 소개와 지속, 재등장의 과장에서 적절한 대명사나 명사, 관사를 사용하지 않으면 이야기체가 일관성을 잃어버리게 되고 결국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학습자의 모국어인 한국어와 목표어인 영어가 의미적, 통사적, 화용적으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일어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어린이 영어 학습자의 지시체 표현의 발달을 살펴보기 위하여, 무성 영화인 ‘Modern Times'를 이야기로 재구연한 이야기체 중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대명사, 명사구 사용과 반복 등을 한정사의 사용과 함께 분석한다.
1.Introduction 2.Review of relevant studies 3.Sample analysis 4.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