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역사˝ 에서 여성 자율성을 찾기: 신 역사주의와 페미니즘사이의 교차점

Finding Female Autonomy in History: An Intersection between New Historicism and Feminism

  • 435
커버이미지 없음

이 글은 스티븐 그린블라트Stephen Greenblatt 에 의해 본격화 되었던 문학 문화 이론, 신 역사주의의 문화접근 방법론이 페미니즘 이론에 영향을 끼쳤으며 상호 공유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석과 설명들이 남성 중심적이고 단일하며 실재에 근거를 두면서 여성의 가치들을 배제시키고 여성들에 의해 이루어진 의미와 그들의 의식을 비합리적이면서 주변적이고 비 자연스러운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신 역사주의의 비평 방법들 즉, 지금까지 중심적 역할을 해왔던 남성 중심적, 지배 엘리트 중심적인 것, 나아가서는 텍스트의 자율성을 타파하려는 노력들은 역설적으로 페미니즘 문학문화 이론의 중심적 논리 - 즉, 남성 여성의 이분법 타파 내지는 가부장적이면서 남성을 우월하고 여성을 열등한 것으로 보는 편견을 혁파하려는 시도 등- 에 상당부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즉 그런 방법론 등이 여성 표현과 자율성을 드러내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신 역사주의자들은 여성을 역사와 문화 분석에서 중심에서 벗어난 부수적이며 부가적인 것으로 보기보다는 주체적 문화 분석의 재원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또한 프랑스의 철학자이면서 문화이론가인 미셀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이론에 그들의 이론적 기반을 두는 신 역사주의자들은 문학작품에서 여성의 모습을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분석의 중요한 특성으로 보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문학작품과 비 문학작품을 서로 상호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신 역사 주의자들의 주장은 본질적으로 내재한 성 아이덴티티(sexual identity)를 해체시켜서 성 관계(gender relationship)를 단일한 개념으로 보는 것에 반박한다. 따라서 여성을 역사의 수면위로 끌어내는 데 공헌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설사 신 역사주의자들의 비평 방법론이 여성들에 대한 구체적 표현에는 부족함이 있다하더라도 여성의 가치를 한 단계 끌어 올렸다고 볼 수 있다.

1

2

3

Works Cited

국문초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