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료제조공정시 배출되는 염화알루미늄 용액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reuse of aluminum chloride(AlCl₃) solution from pigment process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논문집
- 제3집
-
2004.07285 - 299 (15 pages)
- 이용수 15
키워드
초록
제품화시킨 염화알루미늄(AlCl₃) 용액과 현재 각 처리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무기응집제(PAC. Alum)를 약품교반실험(Jar-test)을 통하여 응집효율을 비교하여 염화알루미늄(AlCl₃)용액에 대한 재활용 가치를 검토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안료제조 공정에서 배출되는 리 제거효율이 99.8% 이상으로 나타나 구리 (Cu) 성분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제품화 시킨 염화알루미늄 (AlCl₃) 용액파 우기응집제인 PAC(10%), Alum(8%) 파의 응 집실험에서 염색폐수 및 화학폐수에 대해서는 염화암루미늄(AlCl₃) 응집제가 PAC (10% ), 비하여 응집효율이 높게 나타났고, 피혁폐수의 경우 Alum(8%) 이 다소 폐수의 종류에 따라셔 응집효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비교적 염화암루미늄(AlCl₃) 응집제의 응접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제품화 사킨 염화암루미늄(AlCl₃) 응집제의 응집특성 실험결과 응집제 주입량 500 - 1,500mg/l 의 범위에서 주입량의 증가로 응집효율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그 영향은 미미하였으며 동일 주입량에서 pH 변화에 따른 응집효율차이는 폐수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 폐수 성상에 따라 응집제 주입량 및 적절한 pH 를 선정하므로서 응집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였다.
With the comparision of coagulation efficiency through Jar- Test with the producted AlCl₃ solution and inorganic coagulants - PAC, Alum - which are using at the each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reuse value for AlCl₃ solution are concluded as follows: 1. The removal efficiency of copper in solution was higher than 99.8 % when the aluminum pieCes were added and reacted in the AlCl₃ solution from the pigment production process. Therefore, the AlCl₃ solution was effective to remove copper. 2. From the coagulation expcr'iments with the producted AlCl₃ solution and inorganic coagulants - PAC (10%), Alum (8%) - the coagulation efficiency of AlCl₃ was higher than that of inorganic coagulants - PAC (10%), Alum (8%) - for a dye and chemical plant wastewater. Wherease, Alum (8%) showed somewhat higher coagulation efficiency than that of AlCl₃ for a leather plant wastewater. It was evaluated that the coagulation efficiency depended on the kinds of wastewater. However, in general, the coagulation efficiency of AlCl₃ was superior to inorganic coagulants - PAC (10%), Alum (8%). 3. The coagulation efficiency tended to b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coagulant in the range of 500 - 1,500 (mg/l) from the characteristic experiment of producted AlCl₃ coagulant. hut the effect was insignificant. 4. Since the coagulation efficiency by the variety of pH at the same dosage was different at the different kinds of wasterwater. Therefore, it was conculded that the coagulation efficiency could be increased by the proper pH and coagulant dosage with the characteristic of wastewater.
목차
Abstract
요약문
1. 서론
2. 실험장치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5)
- 韓國西海岸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 의 成熟과 産卵期
- 개야도 연안해역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 韓國 西海岸 격열비열도 近海産 돌가자미의 成熟과 産卵期
- 양식넙치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sp.의 생화학적 특성 및 병원성에 관한 연구
- 乘船系 學生의 船員職業에 대한 意識構造-機關學科 學生을 中心으로-
- 船舶用 中速 디젤機關의 排氣 EMISSION에 對한 實驗的 硏究
- 디젤기관에서 사용연료에 따른 연소특성의 실험적 연구
- 동죽의 칼로리 함량에 대한 계절 변화
- 群山附近 海域의 Chlorophyll-a와 植物플랑크톤의 分布
- 錦江에서의 Chlorophy11 a와 BOD 및 COD와의 상관관계 硏究-배양실험-
- 多衆채널 適應알고리즘을 利用한 能動騷音制御
- 장곡리 海濱의 모래 移動 現場 調査
- 實習船 海林號의 GPS에 의한 旋回圈 測定
- 韓國 傳統 水産醱酵食品의 文獻的 考察(Ⅱ)-貝類 및 頭足類 젓갈-
- 船網 漁業에 관한 一考察
- 鎭海灣의 3차원 海水流動 數値 시뮬레이션
- 실습선 해림호의 급식에 관하여
- 수산동물에서의 nitric oxide(NO)의 생리적 및 병리적 역할과 미래의 연구과제
- 금강-동진-만경 염하구 표층 퇴적물의 특성
- 韓國 傳統 水産醱酵食品의 文獻的 考察-Ⅲ. 魚類 젓갈
- Study on a Prediction Model of Soil Diffusion around Dam
- 부안 수산업협동조합 관내 어촌계에 관한 고찰
- 안료제조공정시 배출되는 염화알루미늄 용액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 西海岸 김 養殖場에 關한 硏究-V. 沃溝沿岸 養殖 김의 生育과 生産量 分析
- 韓國 西海岸의 참조기 漁業攷-韓國沿岸에 回遊하던 참조기 무리의 生物學的 漁業資源學的 同定-
- 군산시 수산업협동조합 관내 어촌계에 관한 고찰
- 西海岸 김 養殖場에 관한 硏究-Ⅷ. 錦江 河口産 養殖 김의 生育分析
- BHC의 화학적 분해
- 群山地方의 地下水位에 관한 考察
- 堆積土層의 파일抗打에 의한 地盤振動
-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2배체와 3배체의 성장비교
- 韓國 傳統 水産醱酵食品의 文獻的 考察(Ⅰ)-甲殼類 젓갈-
- 錦江에서의 Chlorophy11 a와 BOD 및 COD와의 상관관계 硏究-분해실험-
- 防潮堤 築造에 따른 潮流變化
- 양식뱀장어에서 분리한 Edwardsiella tarda의 약제 내성과 R Plasmid
- 뱀장어 아가미 울혈증에 관한 연구-Ⅱ 아질산 중독에 따른 뱀장어의 혈액성상의 변성
- Ferrite法에 의한 無機系 廢棄液中의 重金屬處理의 實驗硏究
- 土木基礎地盤 調査를 위한 彈性波 探査
- 冬眠魚類의 核酸關聯物質에 關하여
- 魚病細菌과 異物質의 接種에 따른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腎臟과 末梢血液의 好中球의 變化
- WTO出帆에 따른 新 國際綜合港灣物流體制 適用에 關한 硏究<새만금港의 開發을 中心으로>
- 西海沿岸 潮間帶에 棲息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 의 食性
-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의 섭식생태
- 西海岸 김 養殖場에 관한 硏究
- 개량안강망에 어획된 전라북도 연안 수산자원생물의 종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