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 연안산 어류에 기생하는 흡충류 4종

Trematodes in Marine Fishes from the Western Coastal Water of Korea

  • 74
커버이미지 없음

서해안 금강하구에 위치한 고군산 열도는 각종 어패류의 산란장 일 뿐만 아니라 각종 회유성 어류 의 치자어 (稚仔魚) 성육장으로도 대단히 중요한 곳으로 특히 멸치 (Engrarulis japonica)와 함께 정착성 어족인 조피볼락 (Sebastes sechlegeli) 과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등의 생산량이 많은 해 역 이 다 . 그 동안 정부에서는 수산 자원의 지속적인 자원 량 유지와 생산성 증대를 목적으로 어패류가 산란 할 수 있는 인공어초 투입 등 환경 조성과 동시에 그 해역에서 서식하는 정착성 어족을 성육시키기 위하여 연안어장 목장화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그러나 어족 자원의 유지와 증강 빛 질병 예방를 위해서는 기생충의 연구 또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흡충류의 기생은 어류의 서식 해역별로 차이가 있어‘해역별 서식어류의 계군분석에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해산 어류의 기생흡충류에 관해서 국 외 에 서 는 Croweroft(1951), Harold(1940, 1947). Ichihara et al. (1963a. 1963b. 1963c, 1965a, 1965b, 1974). Nicoll (1915), Ozaki (1926. 1929). Yamaguti (1934. 1958a. 1958b, 1958c) 등의 보고가 있다. 한편 한국 연안산 해산 어에서의 흡충류의 분류는 Park (1938, 1939a. 1939b)이 한국산 어류에서의 흡충류에 관한보고 이후, Kim et al. (1998) 이 남해안 진해만 및 광양만산 문절망둑어 (Acanthogobius flavimanus), 망상어(Ditrema telmmincki),‘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및 넙치(Paraliehthy. olivaceus )에서 흡충류 4종을 보고한 것뿐으로 우리나라 서해산 어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관한보고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는 1998 년 3 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해 안 금강하구에 위치한 고군산 열도에서 채집한 조피볼락, 쥐노래미, 문절망둑, 도다리 (Pleuronichthys cornutus) 및 수조기 (Nibea albiflora) 와 서남해의 완도에서 채집한 쥐노래미의 장내에 기생하는 흡충류의 종 분류를 조사한 바, 4종의 흡충류가 검출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From March 1998 to April 2000. 4species of marine fishes including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goby (Acanthogobius flavimannus), fine-spooted flounder (Pleuronichthys cornutus). and croaker (Nibea albiflora) were captured from the coastal area of the Gogunsan island located in the mouth of the Kum River. and greenling (Hexagranunos otakii) was sampled from the coastal areas of the Gogunsan island and the Wan-do. Trematodes from the stomach and the intestine of the fishes were detec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ur species of trematodes were detected in the stomach and the intestine of the examined fishes: Opecoelus lobatus Ozaki. 1925 from black rocktish. tine-spotted flounder and greenling. Coitoecum glandulosum Yamaguti. 1934 from goby. Phyllodistomum sp. Braun. 1899 from croaker. and Pharyngora sp. Lebour. 1908 from greenling captured from Wan-do. This report gave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O. lobatus. Pharyngora sp. and Phyllodistomum sp. from coastal marine fishes in Korea.

Abstract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사사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