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증시의 주가반응 연구: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나스닥 및 KOSPI200·코스닥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Stock Market Behavior: Evidence from DJIA, NASDAQ to KOSPI200, KOSDAQ

  • 114
커버이미지 없음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1997년 1월 3월부터 2002년 12월 30일까지 KOSPI200지수, 코스닥지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 및 나스닥지수의 일별종가수익률(close-to-close return) 자료를 낮수익률과 밤수익률 구분한 자료를 사용하여 미국중시의 한국증시에 대한 변동성이전효과 (information spillover effect) 분석을 통한 시장효율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간가변적인 AR(l)-GARCH(l,1)-M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우존스산업지수 및 나스닥 낮수익률은 KOSPI200지수의 밤수익률 뿐만 아니라 낮수익률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건부 평균 및 변동성이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IMF 외환위기 이후 더 강하고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국증시의 낮수익률변동정보는 한국중시의 낮수익률보다는 밤수익률에 더 잘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자본시장개방 및 정보통신발달에 한국증시의 시장효율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미국증시의 한국증시에 대한 변동성이전효과에 대한 이해는 국내 증시 참가자들의 자본자산가격결정 및 국제포트폴리오관리자들의 위험관리 등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hypothesis of market efficiency through the information spillover effects over price and volatility across Korean and US national & non-national stock exchanges by using daytime and overnight returns of DJIA, NASDAQ, KOSPI200 and KOSDAQ spot index data from January 3, 1997 to December 30, 2002.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strong evidence of volatility spillover effects from DJIA and NASDAQ daytime returns to KOSPI200 and KOSDAQ overnight and daytime returns. And this relationship persists much more strong after the financial crisis period. We also find that DJIA and NASDAQ daytime returns have a statistically much stronger effect over the overnight returns and volatilities than the daytime returns and volatilities of KOSDAQ and KOSPI200 index spot. We infer these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 to the international portfolio management and risk management.

요약

Ⅰ. 序論

Ⅱ. 자료 및 연구방법론

Ⅲ. 실증분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표1> 각 주가지수 수익률에 대한 기초통계량 분석 결과

<표2> 각 주가지수 수준변수, 수익률에 대한 단위근 검정 결과

<표3> 거래소시장들간의 정보이전효과 분석 결과

<표4> 거래소 시장과 비거래소시장들간의 교차적인 정보이전효과 분석 결과

<표5> 비거래소시장들간의 정보이전효과 분석 결과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