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업의 내재가치요인과 주식수익률의 관계: 상대적 정보내용비교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Value Factors and Stock Return: Comparision of Relative Information Content

  • 94
커버이미지 없음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주식수익률의 횡단면 변동을 설명하는 내재가치요인들 간에 상대적 정보내용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내재가치요인으로는 순이익, 충분순이익, 경제적부가가치, 증분경제적부가가치, 영업현금흐름, 중분영업현금흐름, 자기자본이익률 등의 성과측정치 변수와 기업규모, 장부 대 시장가치, 레버리지 등의 위험대용치 변수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표본기업은 1992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상장회사 협의회 기업정보 웨어 하우스 TS2000에 수록되어 있는 193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상대적 정보내용의 비교분석을 위한 검정방법론은 Biddle et al.(1995, 1997)이 제시하고 있는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I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제적부가가치는 레버리지, 장부 대 시장가치 등의 위험대용치 변수와 영업현금흐름, 증분영업현금흐름 및 자기자본순이익률 등의 성과측정치 변수 보다 높은 상대적 정보내용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와 달리 경제적부가가치와 순이익 간 상대적 정보내용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고, 증분순이익의 정보내용이 경제적부가가치, 증분경제적부가가치, 순이익 등의 내재가치변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다는 새로운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는 시장참여자들이 투자결정을 할 때 다른 내재가치변수에 비하여 순이익의 증감에 더욱 유의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투자자들은 여러 내재가치 요인 중 증분순이익의 상대적 정보내용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연도별 및 업종별 분석에서도 일관된 증거를 보여주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hether difference of relative information content among intrinsic value factors that explain cross section fluctuation of stock returns exists by using 193 finn. Intrinsic value factors are finn size, book to market value ratio, net income, incremental net income, leverage, net profit, economic value added, incremental economic value added, operation cash flow, return of equity etc. To assess relative information content, we employ a statistical test from Biddle et al,(1995) that allows a test of the null' hypothesis of no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two competing sets of independent variables to explain variation in the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EVA is more highly associated with stock returns than leverage, book to market value, operation cash flow, incremental operation cash flow, and return of equity. Unlike existing study, the results does not support claims that income is more highly associated with stock returns than EVA, and suggests rather incremental net income is more highly associated with stock returns than EVA, incremental EVA, and net income.

요약

Ⅰ. 서론

Ⅱ. 기존연구의 검토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