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어린이 미술 감상학습의 의미와 특질에 관한 기초적 고찰

Fundamental Examination Based on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Arts Appreciation Education

  • 97

본 논문에서는 어린이들의 진정한 미술 감상학습이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 측면에서 그 근본적 재고를 시도하였다. 즉, 감상활동의 의미와 특질, 미술 감상활동이 학습으로서 자리 매김 되기 위한 학습의 제 측면, 나아가 그것들을 학습의 모델로서 활용해 나가기 위한 구체화로의 방향 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 다. 이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 감상학습에 대한 기본적인 사견과 논지를 정리하면, 현 재 행해지고 있는 감상학습은 보다 넓은 의미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귀착된 다. 즉 어린이들이 외계의 사물과 관계를 맺는 경험 속에 감상활동이 존재하고 그것이 학습으로서 의미를 지니게 될 때 비로소 진정한 감상교육이 이뤄질 수 있다는 사고를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어린이들의 내면세계는 표면적으로 확인하기 힘든 것이 지만 그들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 내면을 가치로운 것으로서 바라보려는 노력이야말로 미술 감상학습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커다란 과제이다.

This study tried to fundamentally review about what the true arts appreciation education was from the following standpoints: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 and targets, the characteristic of fine arts appreciation activities, and the view for fine arts appreciation activities to settle down and embody as a learning model. Based on these, the basic thoughts and arguments for the appreciation leaning are as follows: Firstly, the current appreciation leaning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wider view, and it is also to spread the learning viewpoint. That is, we should have a thought that the true appreciation education cannot exist until children contact with and experience external things at hand. Secondly, although it is difficulty for us to grasp the internal world of children visually, we should recognize that their inside deserves to be noted. These are the most important issues to be considered in the appreciation education.

요약

Ⅰ. 서론

Ⅱ. 감상활동의 의미

Ⅲ. 감상활동의 특질

Ⅳ. 감상학습의 제 측면

Ⅴ. 감상학습의 방법론적 접근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