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OECD 학습도시 정책동향 비교분석

  • 564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평생학습도시 조성정책에는 일본판 '마을 만들기 운동' 내지 문화적 접근이 강하게 접목되고 있어서 경제적 접근이 약하다는 데 문제의식을 갖고 출발하였다. 즉, 평생학습도시 조성 정책의 핵심에 교육, 학습이 자리 잡아야 하며, 주5일제 시행에 앞서 경제적 버전의 학습도시를 필요로 하며, 학습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회생, 지역사회 갱생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답하고자 OECD의 순환학습, 만인을 위한 평생학습, 만인을 위한 능력개발, 최근의 평생학습도시, 학습지역 동향을 지식기반경제, 학습경제란 시대적 맥락 가운데 살펴보았다. OECD의 학습도시, 학습지역정책 동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를 받는다. 첫째, 한·일 연대를 넘어 평생학습도시 국제적 연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평생학습도시 조성정책이 지역사회 재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문화적 접근에 경제적 접근이 가미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형 마을만들기 중심의 학습도시와 유럽형 지역사회 재생형 학습지역 만들기 운동이 절충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교육의 중요성을 재발견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view our learning cities policy in terms of OECD learning city policy, Our policy tends to be oriented toward Japanese model that emphasizes cultural approach rather than economic approach. In this regard, it is needed to reconsider learning cities in the light of economic approach. Learning cities and regions under the initiative of OECD mean strategies for forming total knowledge capital. That is, they are strategies for making cities clusters which are full of knowledge capital, human capital, and social and cultural capital. Learning cities are the products of the coming of the knowledge-based economy. The case analysis of OECD learning cities and regions gives u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pursue global networks among learning cities over the world. Second, an economic approach should be added to a cultural one on our learning cities policy. Thir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education should be re-discovered. Finally, entering the age of localization, it is needed to combine policies of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learning cities,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to European learning cities and regions model under one master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요약>

Ⅰ. 서론

Ⅱ. OECD의 평생학습정책 동향

Ⅲ. OECD의 학습도시 조성정책 동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