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초록
韋庵 張志淵(1864-1921)의 사상적 출발은 嶺南儒學, 그중에서도 退溪學脈과 연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학을 토대로 하는 그의 사상적 입장은 그의 일생을 통하여 지속되었다. 오늘날 일반인에게 각인된 장지연의 이미지를 형성시킨 30대 이후 중년 시기에 이루어진 그의 愛國啓蒙運動은 그 사상적 기반을 한편으로는 서구의 社會進化論의 수용을 통하여 이루어진 自强論에 두고 있지만, 그자강론은 기본적으로 유학사상을 바탕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렇기 때문에 그는 유학을 기반으로 해서 서구문명을 받아들인다는 일종의 東道西器論의 관점을 고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에 그는 당시의 타락한 유학을 비판하고 ‘大同思想’의 이념을 중심으로 原始儒學을 지향하는 儒敎改革을 주장함으로써 유교개혁가로서의 모습도 보여주었다. 장지연은 생애 후반기에 식민지적 상황에 좌절하여 일부 퇴영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으나, 한편으로는 國學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조선의 전통문화에 대한 학문적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한국문화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이 시기에 일본학자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 1878-1967)의 朝鮮儒學에 대한 비판적 강연을 재비판하는 글을 통해서 儒學에 대한 긍정적 평가의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입장의 연장선상에서 일련의 유학 옹호적 글들을 발표하였다. 그 중에 가장 유명한 글이 바로 韓國儒學史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 서술인 『朝鮮儒敎淵源』인데, 이로부터 근대적 의미에서 한국인에 의한 한국유학사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思想史的ㆍ文化史的 맥락까지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장지연을 재해석할 때 우리는 장지연이라는 인물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총체적인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rigin of Jang, Ji-yeon(1864-1921)'s though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Yeoungnam Confucianism, particularly with the school of Toegye. His academic stance based on this kind of Confucianism had been kept for his whole life. The generally-known image of him with his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was built after his thirties. Though the ideal basis of his enlightenment movement was on the self-strengthening theory introduced by way of adaption of Social Darwinism of the West, his self-strengthening theory was built originally on Confucianism. Thus he maintained a kind of Dongdo-Seogi philosophies(the theorem of combining the Eastern ways of morality and the Western mechanical techniques) adopting the civilization of the West based on Confucianism. He not only criticized the corrupted Confucianism of those days, but also, revealed himself as a reformist of Confucianism by asserting, centered around the thought of Great Unity, the revolution of Confucianism heading toward Primordial Confucianism. It is true that he showed a retrogressive stance in the latter part of his life, but he tried to make an academic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hosun, and contributed a lot to the study of Korean culture. Especially by re-criticizing the critical lecture of Dakahashi Tohoru(高橋亨, 1878-1967), a Japanese scholar, on the Confucianism of Chosun, he manifested his active will to the positive evaluation of Confucianism and on this line presented a series of articles backing Confucianism. Among these, the most famous work is Chosun-yugyo-yeonwon, the first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 thought. In this sense, his work was the beginning of the genuine study made by Korean scholar about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 thought. When we try to reinterpret Jang, Ji-yeon by utilizing the code of his history of thought and culture, we can reach into a more objective and totalistic understanding of Jang, Ji-yeon as a person.
목차
논문개요
Ⅰ. 서 론
Ⅱ. 장지연의 초기 유학사상 형성과 퇴계학맥과의 관계
Ⅲ. 장지연의 유교관의 변화 추이
Ⅳ. 장지연의 유교관의 기본 특징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