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UNESCO 세계성인교육회의가 평생교육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 연구

Influence of UNESCO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dult Education on the Formation of Lifelong Education

  • 856

유네스코가 평생교육을 하나의 이념으로 도입하기 전에 서구에서는 이미 성인교육이라는 용어가 보편화되어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 성인교육이 평생교육 내에서 교육원리로서 체제를 갖추고, 21세기를 여는 열쇠가 되기까지 세계성인교육회의에서 열쇠를 만드는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세계성인교육회의의 배경, 주제 및 결과, 참가국, 평생교육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평생교육 성립의 기원과 평생교육 정체성 형성 과정에 미친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서구의 성인교육은 유네스코 세계성인교육회의를 통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대 되어 평생학습으로 발전하였음이 나타났다. 성인교육의 개념 및 정의, 성인교육의 방향, 학습권, 성인교육의 국제적·규범적 도구의 인정에 이르기까지 유네스코 세계성인교육의 공로가 있었다. 현재 성인교육 대신 평생학습정책이라고 하지만 이용 대상자 변에서의 중심은 여전히 성인이다. 연구 결과 우리는 정신과 개념 면에서 성인교육을 평생학습으로 달리 부르고 있지나 않은가, 우리는 세계의 성인교육보다는 서구의 성인교육의 포로가 아닌가 하는 물음표를 남기고 있다.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review the history of UNESCO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adult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situational context. The analysis shows the major trends of UNESCO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adult education as follows. The first 1949 Elsinore conference reflected the experiences and aspirations of the immediate post war situation. The 1960 Montreal conference was held against a background of decolonization, stressed the priority of adult literacy and highlighted the link between peace and adult education. It was at the Montreal Conference that the idea of lifelong learning strongly appeared as a policy objective. The 1972 Tokyo Conference occurr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cold war and emphasized the Contribution of adult education as a factor in the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economic and social progress and also, in cultural development. The 1985 Paris Conference met against a deteriorating economic situation with sharp budgetary contractions for adult education activities. Adult literacy continued to feature as a policy priority. and the 'Right to Learn' declaration was agreed. In Hamburg, the dominant contextual concern was the globalization issue. The influential 'Hamburg Declaration on Adult Education' and 'Agenda for Future' were agreed and adult learning was regarded as a key to the twenty-first century. In conclusion, the research showed that adult education in the western countries could develop to lifelong learning through international conferences. on adult education and there has been transformation from adult education to lifelong learning over time.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UNESCO의 창립과 제1차 엘시노어 세계성인교육회의

Ⅲ. 제2차 회의 : 변화하는 세계 내에서의 성인교육의 역할 정립

Ⅳ. 제3차 회의 : 평생교육 체제의 본질적 요소로서 성인교육의 강조

Ⅴ. 제4차 회의 : 학습권 선언을 통한 만인을 위한 평생교육의 실현의 초석 마련

Ⅵ. 제5차 회의 : 21세기를 여는 열쇠로서의 성인학습

Ⅶ. 평가와 전망

참고문헌

저자소개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