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대 대마연락망 경위도계산의 재현에 관한 연구
Reconstitution of Ellipsoidal Coordinates Computations for the Korea-Japan Joint Network in 1910s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20권 2호
-
2004.121 - 13 (13 pages)
- 93
기존의 경위도좌표계는 1910년대에 시행한 토지조사사업에서 구축된 바 있으나 정확한 계산체계와 내용이 알려지고 않아서 현재까지도 적용에 어려움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시 대삼각측량의 자료와 역사적 배경을 토대로 Schreiber 경위도계산법과 계산체계를 분석하고 대마연락망의 경위도좌표 계산을 위한 경위도계산부를 복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1910년내에 적용된 Schreiber대수식과 현대에 가장 정확하다고 알려진 경위도계산식 Vincenty진수식과의 비교에서 수 mm 정확도로 동등함이 확인되었으며, Bessel성과 산정에서는 삼각점의 등급에 따라 적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식에 활용에 주의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ellipsoidal coordinates systems that established as the National Land Survey Project on 191Os, haye some structural shortcocomings of computational procedures and accuracies of triangulation points.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issues involved in computing procedures by the Schreiber's method are discussed, and the compuatational book of the ellipsoidal coordinates based on Bessel ellipsoid are reconstr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chreiber logarithmic formulas are applied at Korea-Japan Joint network, the deviation of old coordinates and newly computed coordinates by the Vincenty formlar are some mm levels. It is important that the coordinates of the lower-level triangulation points are computed by more truncated -formulas.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1910년대 대마연락망의 배경
3. Schreiber 경위도계산식 유도
4. 대마연락망 적용식 재검토
5. 1910년대 대마연락망 경위도계산의 재현
6. 결 론
〈참고문헌〉
〈별표〉대마연락망 경위도계산의 재현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