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모바일 GIS를 이용한 지리정보 서비스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ing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using the mobile-GIS

  • 103
커버이미지 없음

정보기술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정보의 제공수단으로서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주로 데스크탑이나 웹을 대상으로 개발되어 왔던 GIS의 응용프로그램들이 최근에는 무선기기에서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환경에서 GIS를 서비스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 중에 하나는 GIS데이터가 일반 bitmap이나 vector포맷의 전송보다는 복잡하거나 파일크기가 크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GIS 응용프로그램들이 특정 플랫폼을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어 상호간 데이터 호환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 플랫폼에 상관없이 인터넷상에서 데이터 전송이 가능딴 XML기술이며, 지리정보분야에서는 XML에 근거한 문서규약으로서 GML이 개발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GML은 SVG와 같은 plug-in을 다운로드 받아서 간단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번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의 전송수단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GML의 유용성을 분석하고, GML을 이용한 모바일 GIS 서비스의 구축전략을 논의한다.

Due to the fast development of information Lechnology, mobile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 and PDA are increasingly being used in linformation transmission GIS applications, which have primarily been developed for Desk-tops or Webs, are beginning to be adopted in mobile devices. However, communicating geographic information in mobile environment has some limitations. One of the problems is that GIS data are generally complex of big in size compared to bitmap and vector format. The other found in current applications is that each of them is developed for a specific platform. A solution to this problem has been sought using the XML, which is designed to transfer structur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regardless of platform types. In GIS area, GML is receiving attention as the document specification for geographic feature based on XML technology GML can be visualized simply using client plug-ins such as SVG. This study compares different data formals for transmitting geographic features and then suggests the framework for developing a mobile-GIS service using GML.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모바일 GIS의 특징 및 응용분야

3. 데이터 형식에 따른 모바일 GIS 전송방식 비교

4. GML기반의 모바일 GIS

5.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