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레버리지와 체계적위험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atic Risk and Leverage

  • 127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증권시장에서 레버리지가 체계적위험의 주요 결정 요인임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재무레버리지를 중심으로 기업의 잠재적 우발위험인 채무보증과 채무보증가중부채비율이 체계적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재무레버리지와 체계적위험과의 관계를 1997년 금융통화위기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6년을 비교함으로써 기간별 레버리지의 영향력을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153개 표본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12개년 동안의 자료로써 실시한 실증분석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탄력도 개념으로 산출한 영업레버리지도(DOL), 재무레버리지도(DFL)가 체계적위험의 설명변수임을 확인할 수 없었다. 둘째, 영업레버리지대용치인 고정자산대총자산비율과 재무레버리지의 대용치인 부채비율은 체계적위험에 대해 유의한 설명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재무레버리지의 대용치인 채무보증비율과 채무보증가중부채비율은 모두 체계적위험에 대하여 유의적인 설명변수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결과에서 지급보증에 따른 잠재적위험이 자체적으로 체계적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고, 채무보증과 부채를 합한 채무보증가중부채비율이 부채비율보다 유의성과 설명력이 더 높은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넷째, 재무레버리지의 기간별 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1997년 금융통화위기를 거치면서 한국의 투자자들은 과거보다 더 기업의 재무 상태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중요한 지표로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real determinants of systematic risk of common stocks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empirical tests.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models were tested empirically with data obtained from the Korean Stock Exchange Market. 153 companies listed on Korean Securities Market were selected for sample firms and 12 years(1992 through 2003) were selected for sample period. Each firm’s beta and leverage measures were calculated using the data of sample period for the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I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the degrees of two types of leverage(DOL, DFL) on systematic risk. But, No consistent evidence was found that test between systematic risk and DOL, DFL. Second, Accounting variables(rate of fixed asset to total asset, debt ratio) associated with operating risk and financial risk were appeared significant as determining factors of systematic risk. In this study, we recognize that two leverages(rate of fixed asset to total asset, debt ratio) magnifies the intrinsic business risk of common stock. Third, Debt-guarantee ratio and guarantee weighted debt ratio were appeared significant as determining factors of systematic risk. Fourth, In this study, we recognize that terms of t3(after 1997) was more significant than t2(before 1997) in debt ratio and guarantee?debt ratio.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can be a possibility of statistical problem due to the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and short period. And, This study does not include the test for portfolio case.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선행연구

Ⅳ. 연구방법론

Ⅴ. 실증분석

Ⅵ.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