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17세기 韓·日 양국의 울릉도·독도 인식

Chosun’s and Japan’s Positions on Ullungdo and Dokdo in the 17th Century

  • 59
커버이미지 없음

한국에서는 6세기 초 신라 지증왕 이후 계속해서 울릉도 지역을 영유해왔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공도정책을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울릉도와 독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일본에서는 16세기 이전까지 울릉도와 독도에 대해서 정확하게 인지를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독도에 대해서도 17세기 초 쓰여진 『隱州視聽合紀』에서 최초로 언급하고 있다. 이 기록 또한 독도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이라기보다는 울릉도로 도항하면서 지나치는 중간 거점 정도로만 인식하고 있을 뿐이었다. 이러한 울릉도·독도가 일본인에게 구체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對馬島에 의해서였다. 그리고 일본에 구체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617년 일본 米子의 상인이던 大谷甚吉이 태풍을 만나 울릉도에 표착하면서 부터이다. 이후 米子의 상인들은 일본 막부에 竹島渡海를 신청하고, 이에 대한 면허를 발급받는다. 그리고 30년 후인 1657년에는 松島(독도)에 대한 渡海도 승인받는다. 그러나 竹島渡海 때 받았던 면허장을 松島渡海 때에는 받지 못한다. 그 이유는 독도는 울릉도에 부속되었던 섬으로 인식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1692년 조선어부와 일본어부들은 울릉도에서 만나게 된다. 그것은 울릉도·독도 지역에서는 村川·大谷家뿐만이 아니라 조선어부들도 해마다 어업을 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어부와 일본어부들의 첫 만남은 큰 문제없이 해결되었지만, 다음해(1693) 다시 조선어부와 일본어부들은 만나게 된다. 당시 일본어를 할 줄 알았던 조선측 대표 안용복과 박어둔은 일본측에 일본어민들의 출어금지를 요구하였고, 그 결과 이들은 일본으로 연행되어 간다. 일본으로 연행되었던 안용복과 박어둔은 2개월간 伯耆지역에 유배되어 있다가 조선으로 송환된다. 그리고 동시에 울릉도의 영유권을 두고 조선과 일본대표였던 對馬藩 사이에서는 교섭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협상에서 조선측은 울릉도는 조선땅이라는 입장을 표명하였고, 막부도 1696년 울릉도를 조선령으로 인정하고, 竹島渡海禁止를 명령한다. 이 사이 조선으로 돌아와 있던 안용복은 對馬藩의 늑장으로 사건이 조속히 해결되지 않자 1696년 몇 명의 일행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간다. 그리고 이 사건을 통해서 막부는 울릉도가 조선령임을 확인하게 된다. 울릉도가 조선령임을 알고 있었던 鳥取藩에서는 막부의 본격적인 조사가 시작되자 울릉도가 조선령임을 확인해 주었고, 이에 막부에서는 竹島渡海禁止를 명령하게 된다. 또한 울릉도로 가는 중간 거점으로 이용되던 독도 역시 竹島渡海禁止와 함께 渡海가 금지된다. 이는 일본에서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도서로 생각하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막부의 결정으로 울릉도·독도가 조선령으로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양국 연안 주민의 울릉도 渡海는 완전히 단절되지 않았다. 이후 일본에서는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울릉도·독도를 조선에 양도한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인식은 1905년 島根縣 편입조치로 나타나게 된다.

Since King Jijung annexed Usanguk into the Shilla Kingdom, Korea has governed the Ullungdo region. In addition, the Chosun Dynasty continued to administered Ullungdo and Dokdo effectively despite thepolicy that left the islands vacated. In contrast, Japan appears to have had only superficial knowledge about Ullungdo and Dokdo until the sixteenth century. They were known only through the word of drifters from Chosun or Japan, and it is Onshusishogoki written in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that mentioned Dokdo first in Japan. However, this record did not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Dokdo and recognized it as a stopover in voyage to Ullungdo. It is through an issue related to Tsushima that Ullungdo and Dokdo became known to the Japanese in more detail. Tschshima residents wanted to immigrate to produce-rich Ullungdo, and continually petitioned to the Chosun government to permit their immigration. However, the Chosun government did not permit any immigration, and as a result, the Japanese bakufu recognized Ullungdo and Dokdo as the territory of the Chosun Dynasty in 1614. However, when Otani Jikichi, the merchant from Yonago in Japan drifted to Ullundo due to a typhoon, the existence of Ullungdo became widely known in Japan, and the merchant in Yonago requested the Japanese bakufu to permit navigation to Takeshima (the Japanese name for Ullungdo at that time). In response, the bakufu permitted their navigation to Takeshima in 1625. Given that Tottori-han presented it with a certain amount of local produce of Ullungdo every year, it is certain that the bakufu knew that Ullungdo and Dokdo belonged to Chosun’s territory and yet gave an implicit permissionto them. This is also evidenced in the regular meetings between Yonago merchants and shogun. Yonago merchants who had navigated to Takeshima for about thirty years also got permitted to Matsushima (the Japanese name for Dokdo at that time) in 1657. However, they did not get an official license this time. There was no reason to issue another license because Dokdo was perceived to be an island belonging to Ullungdo, Chosun and Japanese fishers came across each other in Ullungdo in 1692. Not only the Otani and Murakawa families but also Korean fishers had been fishing in Ullungdo and Dokdo every year. There was no trouble in their first meeting, but they met with each other again in the next year (1693). Ahn Yongbok and Park Eodun, the Chosun representative who could speak Japanese demanded the Japanese to prohibit Japanese people’s fishing in that area, and, as a result, they were arrested and sent to Japan. They were in exile in Houki for two months, and then returned to Chosun. At the same time, a negotiation was sought between the Chosun government and Tsushima-han, the Japanese representative. The Japanese side requested to prohibit Chosun fishers’ navigation to Takeshima and the Chosun government accepted it. However, this decision was problematic. Both sides understood that Takeshima was, in fact, Ullungdo, but pretended that they refer to different islands, thereby risking leaving an apple of discord on the territorial issue. For this reason, there were increasingly more furious critiques of this policy in Chosun, and it became a mainstream view that Ullungdo and Takeshima were the same islands with two different names. Thus the Chosun government declared that Ullungdo was its own territory, and the bakufu admitted this in 1969 and prohibited the navigation to Takeshima by Japanese fishers. Meanwhile, Ahn Yongbok and his colleagues went to Japan again in 1969 in response to the delay in the settlement of the issue caused by Tsushima-han’s reluctance.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records here. That is, unlike Ahn Yongbok’s own account, there was already no Japanese fisher in Ullungdo when Anh Yongbok went to Japan; the Japanese side did not give him an official letter; and the bakufu had already decided to abando

국문초록

1. 머리말

2. 조선의 울릉도·독도관리와 江戶 막부의 竹島渡海免許

3. 안용복 사건과 鬱陵島·獨島

4. 맺음말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