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논문
학술저널

폐광산 지역 옥동천 퇴적물내에 포함된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이동성

Fraction and Mobility of Heavy Metals in the Abandoned Closed Mine Near Okdong Stream Sediments

  • 이용수 42
커버이미지 없음

키워드

초록

옥동천 퇴적물을 대상으로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이동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퇴적물내의 중금속의 존재형태는 adsorbed fraction, carbonate fraction, reducible fraction, organic fraction, and residual fraction 다섯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존재형태 중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은 reducible fraction이며 다음으로 organic fraction과 residual fraction으로 나타났다. Adsorbed fraction은 중금속의 존재형태 미미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옥동천 퇴적물내의 총 카드뮴 중 수체로 이동 가능한 부분은 19.8~56.7%이며, 구리, 납의 경우 대부분이 organic fraction으로 나타났다. 구리와 납의 경우 이동 가능한 형태는 납의 경우 총 납의 농도 중 2.6~48.1%, 구리는 0.2~36.9%로 나타났으며, 아연은 0.5~48.5%로 나타났다. 카드뮴, 아연, 구리의 경우 이동 가능한 부분 중 대부분이 reducible fraction이며, 납과 니켈의 경우 adsorbed fraction으로 나타났다. 구리와 아연의 이동이 가능한 경우는 수중의 산소의 유무에 의해 결정되며, 납이나 니켈의 경우 수중에서의 물리적 영향, 수소이온의 농도가 증가, 산소의 고갈 등에 의해 수층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Fractional composition and mobility of some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Okdong stream are investigated. The fractional scheme for heavy metals in the sediment was established for five chemically defined heavy metal forms as adsorbed fraction, carbonate fraction, reducible fraction, organic fraction, and residual fraction. The most abundant fraction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is reducible and secondly abundant is organic fraction. Adsorbed fraction is minor part of the total heavy metals. Mo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from Okdong stream occur 19.8~56.7% of total cadmium concentrate. The most abundant fraction of the sediment metal is organic fraction in Cu, Pb metals investigated. Labile fraction of sediment metals are 0.5~48.5% of total Zn, 2.6~48.1% of total Pb, and 0.2~36.9% of total Cu, respectively. Most of labile fraction consists of reducible fraction for Cd, Zn, adsorbed fraction for Pb, reducible fraction for Cu, adsorbed fraction for Ni. The Mobilization of Zn and Cu is most likely to occur when oxygen depletes and that of Pb and Ni occurs when physical impact, oxygen depletion and pH reduction.

목차

ABSTRACT

요약문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0)

등록된 수록 논문 정보가 없습니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