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王朝 科擧制度가 現代政策에 주는 意味 "科擧制度를 중심으로"
Modern Education Policy Implication of the Dynasty's Civil Service Examination, "GWAGUH" System
- 한국공공정책학회
- 공공정책연구
- 공공정책연구 제18호
-
2005.09161 - 189 (29 pages)
- 222
이 글은 조선왕조시대 과거제도에 대한 공공정책적 주장분석으로서 현대 정책에 주는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식년시(정기시험),과 증광시, 별시, 알성시, 부정기시험, 진사시, 생원시를 통하여 그 시대의 공공정책적 주장과 논리를 분석해 봄으로서 앞으로 추구해야할 바람직한 공공정책 방향을 탐구하는데 있다. 또한 과거제도의 주장 학파들의 내면에는 정치적인 정책 노선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는데, 왕권 강화와 안정적인 통치를 위하여 왕조에 충성하는 인재와 훌륭한 인재를 채용하고자하는 의지가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모두 왕권의 변화에 따라 변화 될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주장에 대한 대립이 생기게 된 것은 왕조를 굳건히 세우고자하는 의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시대적 문제를 풀어 가는 방법론적 차이가 반영된 것이었다. 이러한 논쟁과 변화가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주장에 대한 타당성에 힘을 보태어주었고, 새로운 정책과 제도 정착에 기여한 점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식년시와 증광시, 별시, 알성시, 생원시, 진사시의 시험제도를 정책으로 분석함으로서 서양 것의 천편일률적인 제도수용이 아닌 동양전통의 역사성이 있는 인재등용 방법과 양식을 살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 이다. 끝으로 연구자는 이런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시험제도의 나아갈 방향을 정책적 측면에서 바라보고자 하였다.
Thinkers insisted on the Periodical school exam and non Periodical school exam, or the combination of the two forms, depending on the result of the ideological conflict amongst them. Government policies were behind thinkers' claims. They wanted to hire those who are gifted and loyal to their king in an effort to strengthen the king's power. It was inevitable that the different forms of the exam were adopted, depending on how powerful the king was. Both sides of the debate had the will to strengthen the king's power. They just had different views on how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they faced. Such debate and change were not always bad. They were useful in supporting claims and in establishing new policies and system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과거제도 시험정책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