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연구보고서

해외 엔지니어링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선진 엔지니어링 업체의 사업구조 혁신전략 연구

A Case Study of The Top Global Design & Engineering Firms' Business Strategy Innovations for Global Design Market

  • 173
커버이미지 없음

제1장 서론 - 국내 엔지니어링업체가 처한 현실적 어려움을 직시하면서 향후 급격한 환경변화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국내 엔지니어링 업체가 생존하고 더 나아가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기업차원에서 모색하고자 함. -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 엔지니어링 업체의 현실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 업체의 해외시장 진출확대를 위해 선진 엔지니어링 업체의 사업구조 혁신 전략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1) 국내 엔지니어링 산업과 업체의 현황 파악 (2) 문제점 인식 및 국내 엔지니어링 업체의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을 파악 (3) 선진엔지니어링 사업구조 혁신전략 분석 (4) 해외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국내업체에게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 제2장 국내 엔지니어링업체의 현실 및 해외진출 가능성 1. 국내 엔지니어링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 국내의 엔지니어링 산업은 현재 인식의 결여, 배타적 업역 조장, 영세한 규모 낮은 R&D, 주무부처의 분산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선진 엔지니어링업체와 많은 기술력의 차이를 빚게 하였음. - 국내 건설엔지니어링의 기술 수준은 시공기술력에 비해서도 떨어지지만 엔지니어링 업무 자체 중에서도 초기 엔지니어링에 해당하는 개념설계 혹은 기본설계부문에 특히 취약한 문제점을 안고 있음. · 전반적으로 선진국 대비 70%이하에 머물고 있음. 2. 해외진출 측면에서 국내 엔지니어링 산업분류의 검토 - 국내 엔지니어링 산업분류체계는 전문분야별 또는 산업별로 나누어져 있음. 이렇게 전문분야나 산업별로 나뉘어져 있는 체계는 각각의 상호 배타적인 업역을 조장하기 쉽고 시공과 연계하여 기술력을 발휘하기 힘든 체계임. - 전문 기술별로 엔지니어링 산업이 분류가 된다면 국내의 엔지니어링 경쟁력 제고와 해외시장 진출에 있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임. - 따라서 국내 엔지니어링 산업의 분류도 기술분야에 대한 분류체계를 통해 동질성 있는 것과 해외로 진출하기 위한 산업군으로 구분 및 재조명할 필요가 있음 <표1 참조>. 3. 해외시장 진출관련 엔지니어링 업체의 인식 및 현실 - 플랜트 엔지니어링 분야 · 우리나라의 플랜트 관련업체가 해외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국내외 하도급업체를 관리할 수 있는 역량 및 시스템이 필요하며 특정 단계가 아닌 사업의 개발단계부터 운영 및 유지관리까지 전생애주기 (Whole Life Cycle)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 우리나라의 현행 입찰제도는 글로벌 스탠다드와 매우 다른 체계를가지고 있어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에 많은 장애가 되고 있기 때문에 제도의 혁신은 국내 건설산업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서도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 플랜트 시장의 경우 진입장벽이 매우 높아 상당한 노력과 인내심이 필요하며, 산업차원에서 해외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역량강화, 전사적인 영업과 함께 경험 있는 업체가 국내의 중/소규모의 엔지니어링업체를 하도급하여 진출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건축/토목 엔지니어링 분야 · 건축/토목 엔지니어링 분야의 경우 플랜트 엔지니어링과 달리 기존 해외시장에서의 진출사례도 적었으며, 더 성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규진출을 중심으로 각종 의견이 제기됨. · 이들 분야에서는 해외진출에 가장 큰 장애요인을 언어 즉, 의사소통 능력으로 지목하였음. ·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력은 중국에 비해 높으나 인건비 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져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관련 해외시장에서의 영역을 굳이 설계 및 엔지니어링에 국한할 필요가 없으며, 파이낸싱 등의 영역으로 그 범위를 확대해야 하며, 당해사업과 관련된 부수사업에도 관심을 가지는 즉, 틈새시장으로도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4. 국내 엔지니어링 업체의 해외시장 진출확대 가능성 - 플랜트 엔지니어링 · 플랜트 분야의 경우는 이미 시장에서의 많은 학습과 경험을 통해 비록 대형업체 중심의 소수업체이지만, 해외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과 경험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하드웨어 기술과 함께 소프트웨어 즉, 선진 외국업체와 같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사업관리 및 설계 관리 등에 역량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불어 체계적인 사업관리 절차서 및 관리시스템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남. · 현재 국내 플랜트 엔지니어링 업체들은 한계점으로 나타났던 기술역량을 선진 기업간 전략적 제휴로 극복을 해나가고 있으며 해외 현지의 시장을 확보하기 위하여 M&A등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나간다면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 해외건설 황금기를 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됨. - 건축/토목 엔지니어

Global design market was led by the Middle East between 1970's and early 1980's, and by North America and Europe beginning in late 1980's. In the 1990's the Asian market has been expanding rapidly, yet due to financial crisis as well as economic recession in the mid 1990's, the market is currently stagnant in the mid 2000's. After the 1990's, the inclination of advanced design firms to utilize their respective nations' heavy industry firms and trading companies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shown that not only turn key method but also project financing procurement method has been utilized. This trend demonstrates that design business is changing into a comprehensive business demanding not only technology in respective areas, but also financing procurement functionality. Also, as projects increase in complexity and scale, the comprehensiveness and high-quality of engineering technology has been recognized as a competitive factor.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assessed that Korean design firms are at a phase in which they are developing from mid-low technology to mid-high technology. Yet, in the global market, Korean firms are placed between US, European and Japanese firms which possess advanced technology and from China and other developing nations which possess price competitiveness, and this placement leads to ambiguity in Korean firms' essential competitive factors. It has been determined that for domestic design firms to establish their independent market space in the global market, they can no longer use the strategy of price competitiveness such as China, but rather use the strategy of obtaining competitive factors which advanced firms possess. For this end, understanding change of competition paradigm in the global design market is important. Also survival and growth strategy used by advanced design firms should be analyzed. However, related surveys or efforts are quite lacking in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shall subject to analysis the global design market which has fluctuated significantly since 1994.By discovering strategic actions of respective design firms in response to an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e past, this paper will provide path through which domestic design firms may survive and grow in the global design market. Major content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to fulfill this purpose are the following. First, examine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global design markets through relevant domestic articles as well as ENR's "Top 200 International Design Firms".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survival and growth strategy of advanced design firms, analyze changes in business structure Business strategy innovation is reformation of competitive business structure to promot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as a whole, and establishment of leading corporate environment in response to changing environment. Business strategy innovation includes business diversification, vertical integration, strategic partnership, merger and acquisition. This study seeks to analyze such corporate level changes in strategy. of firms using"Top 150 Global Design Firms"and “Top 200 International Design Firms" reported by ENR in 1995 and 2003 as subjects. Then, recent M&A trends of advanced design firms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articles, an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nalysis, business structure strategy of advanced d ign firms were reviewed comprehensively. Finally, this paper summarize the results of our study and present four suggestive notions that domestic design firms may obtain as well as the limit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1) Continuous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cultivate engineering experts (2) Carry out developmental projects (3) Push on optional cooperation (4) Selective and concentrative strategy on business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엔지니어링업체의 현실 및 해외진출 가능성

제3장 선진 엔지니어링 업체의 사업구조혁신 및 전략방향 사례분석

제4장 해외엔지니어링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제언

제5장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소개

CERIK 도서 안내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요약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