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U-북 콘텐츠 개발동향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An Analysis on the Trend and Activation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Korean Ubiquitous Book Contents

  • 43
커버이미지 없음

&nbsp;&nbsp;미디어 ecosystem이 변하고 있다. 컨버전스와 UT를 수반하는 미디어 morphosis 가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이다.<BR>&nbsp;&nbsp;이에 따라 U-북 콘텐츠 개발은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추동하고 있다. U-북포털 업계를 중심으로, 인터넷 서점, 굵직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와 이동통신업계가 앞다투어 U-북 수급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현실이다. 인터넷 관련업계의 적극적 개입은 다원화된 콘텐츠 확보라는 외적 명분 이면에 신뢰성 있는 U-북 콘텐츠의 수급을 계기로 e-콘텐츠 전반에 만연돼 있던 기존의 불확실성, 불신뢰성, 저급한 질적 문제 등의 부정적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는 근간으로서 작용할 이점이 있다.<BR>&nbsp;&nbsp;U-북은 그간의 B2B의존 마케팅으로부터 B2C시장 확대로 개인독자 수요를 창출해감에 따라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본연구에서는 성장가능성이 크면 클수록, 그 이면의 문제점을 색출해내어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더 큰 발전을 위한 전제가 된다고 본다. 동시에, U-북 콘텐츠가 OS로서 갖는 중요성에 입각하여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문제에 주목, U-북 콘텐츠의 아이덴터티 규명 및 질적 포지셔닝 전환가능성을 현황을 통해 분석하였다. 수급문제에 관하여, U-북 콘텐츠가 갖는 한계를 업계의 생산 및 수급현황 그리고 독자의 수용현황을 통해 분석하고, 이 한계를 극복할 가능성을 대응방안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BR>&nbsp;&nbsp;논의 결과, U-북 콘텐츠가 OS로서 갖는 중요성 제고 및 이에 대한 주도는 그 누구보다도 출판사에 의해 이루어져야 결과적으로 콘텐츠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 지원 및 인프라의 활성화를 제언한다.

&nbsp;&nbsp;We encounter media ecosystem is getting changed. It is because media morphosis accompanied with media convergence and ubiquitous technology is getting regularized.<BR>&nbsp;&nbsp;Thus, the development of U-book contents moves towards a marked increase in its amount. It is real that internet book sellers, leading internet portal sites, and mobile service companies(; such as SKT, KTF &amp; LGT) rush into U-book service market, besides U-book portal companies. With these companies&quot; active participation of U-book service, they will be able to get some benefits which can crush their previous denial image of internet contents; such as uncertainty, untrustworthy, vulgar qualitative problem.<BR>&nbsp;&nbsp;The phenomena to enlarge B2C market from dependent market on B2B, that is said personal consumers are increasing, will make U-books activated more.<BR>&nbsp;&nbsp;The more capabilities to grow, the more problems to involve. Therefore, I would like to search hidden problems, to analyze those, and to offer alternative ideas. I believe these research procedures will be good bases to develope U-books. On the other hand, importance of U-book contents as OS caught my attention to qualitative problems than quantitative increasement, then, I investigated the identity of U-book contents and analyzed qualitative positioning of U-books.<BR>&nbsp;&nbsp;Thus, I got some results about limitations of U-book contents from the present production and supply in viewpoint of companies, also create some alternative ideas as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BR>&nbsp;&nbsp;Discussing the results, I suggest that it is worthier to conduct U-book contents by publishing companies than any other business. Upon the importance of U-book contents as OS, eventually the publishers can contribute to qualitative development. For the desirable participation of them, I also propose governmental active supports and activated concerned infrastructures.

한국어 초록<BR>Ⅰ. 서론<BR>Ⅱ. 유비쿼터스 환경과 U-출판의 동향<BR>Ⅲ. U-북 콘텐츠 개발 현황 및 문제점 분석<BR>Ⅳ. U-북 콘텐츠 수급과 서비스 활성화 방안<BR>Ⅴ. 결론<BR>참고 문헌<BR>〈Abstract〉<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