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학의 정의 및 학문적 성격정립에 관한 연구 - 정의, 학문적 성격, 연구대상 및 범위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finition & Knowledge character of Cadastral Science -Centered at Definitions, Knowledge character, Study Subjects and Scope-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22권 제1호
-
2006.06195 - 206 (12 pages)
- 299
본 연구목적은 지적학의 태동과 발전연혁 및 지적학과 설치현황 등을 조사하고 국내 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지적학의 정의와 학문적 성격, 연구대상 및 연구범위 등을 종합 정리하여 학자들 간에 지적학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비교 검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에 관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BR> 대학과 전문대학의 지적학과 개설 3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지적학회가 학계·관계·산업계 등이 참여하는 가칭 “지적학연구위원회”를 구성하여 지적학 개발의 종주국으로써 다수 학자들의 주장을 포용하고 일반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보편 타당한 지적학의 정의와 학문적 성격, 연구대상 및 연구범위 등을 정립하기 위한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지적학계의 시급한 과제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t the beginning of cadastral science, its development history, current installation status of Department of Cadastral Science in colleges etc. and to epitomize definition of cadastral science as asserted by inland scholars, its knowledge character, its study subject·scope etc. so a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mparative discussion of opinions different from one another among scholars in this discipline field and to arrange for momentum to derive concurrence therein.<BR> While constituting by Korean Society of Cadastre a provisional named Cadastral Science Research Committee participated from sectors of academy·government·industry etc. as we commemorate 30th year of establishing of Department of Cadastral Science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 derivation of concurrence on generally acceptable universal valid definition of cadastral science, its knowledge character, its study subject·scope etc. while embracing assertions of many scholars as we are suzerain country of development of cadastral science, this is urgent theme of our cadastral science fields.
요약<BR>ABSTRACT<BR>1. 서론<BR>2. 지적학의 태동과 지적학과의 설치<BR>3. 지적학 관련 도서의 발간<BR>4. 지적학의 정의와 학문적 성격, 연구대상 및 범위<BR>5. 결론<BR>참고문헌<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