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Hostages and the Stockholm Syndrome: A Love in Terror?

Hostages and the Stockholm Syndrome: A Love in Terror?

  • 115
035087.jpg

  스톡홀름 신드롬이란 인질로 잡힌 사람들이 범인들과 일체화되어 오히려 자신들을 볼모로 잡은 법인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심리적 현상을 말한다. 갇힌 상태에서 처음에 인질들은 범인들을 두려워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자신들을 구출하려는 경찰에게 불만을 가지면서, 사건이 끝난 뒤에도 계속해서 범인들에게 호의적인 감정을 가지고 그들에게 불리한 증언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다. 나아가서 인질들은 범인들이 자신을 해치지 않는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면서 그들에게 온정을 느끼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가 논의한 바와 같이, 감금상태에서 증후군에 젖은 인질들은 여러 가지 역설적 징후들을 보인다. 많은 연구들을 스톡홀름 신드롬의 발생의 촉진상황으로 네 가지를 언급하며, 동시에 저해상황들도 분석하고 있다. 특히 신드롬의 구성요소로서 경찰에 대한 불신과 반감은 자세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인질상황에서 감정전이는 인질→범인 스톡홀름 신드롬만 아니라 인질←범인 리마 신드롬도 발견되었다.   절망적으로 갇힌 상태에서 하나의 살아남기 위한 장치의 작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법집행기구들은 신드롬의 발생이 인질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고 믿어서 스톡홀름 신드롬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The Stockholm syndrome is a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the hostages (captives), or persons detained against their free will, generate an identification process of emotional bonding with their hostage-takers (captors). Developing the Stockholm syndrome, the victims reveal numerous symptoms of a paradox, as discussed in the paper. Four conditions are frequen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tockholm syndrome: ① Perceived threat to one"s survival, ② Small kindness perception, ③ Isolation from outside and perspectives, and ④ Perceived inability to escape. Some undermining conditions are also examined. In addition,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syndrome, an anti-police sentiment, has been carefully examined.   Noting that the Stockholm syndrome always develop within a context of confined hopelessness and helplessness, the purpose of the syndrome’ S development can be seen as a generation of hope and help within an otherwise hopeless and helpless situation. The syndrome can offer possibilities for positive reciprocal feelings that may prevent captors from killing their captives. In the hostage negotiations, this is why law enforcement personnels attempt to encourage the captive-captor bond, since it is believed to improve the likelihood of the hostages" survival from captivity.

〈ABSTRACT〉<BR>한국어 초록<BR>Ⅰ. Stockholm syndrome and the Norrmalmstorg Robbery<BR>Ⅱ. Conditions of the Stockholm syndrome<BR>Ⅲ. Undermining Conditions to the Stockholm syndrome<BR>Ⅳ. Stockholm syndrome as a Paradox<BR>Ⅴ. Anti-Police Sentiment<BR>Ⅵ. Conclusion<BR>REFERENCES<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