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의 특성 - 대구광역시 사례연구
The Shape of Population and Housing Density Gradients: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한국주택학회
- 주택연구
- 주택연구 제14권 제1호
-
2006.02195 - 213 (19 pages)
- 197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를 사례지역으로 하여 대도시의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를 총밀도와 순밀도를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밀도함수를 추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전통적인 Clark유형의 단핵도시모형에 기반한 음지수함수는 총밀도 기준의 밀도함수추정에는 적합하였으나 순밀도 기준의 밀도함수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둘째, 인구의 교외화추세는 단핵도시구조에 기반한 총밀도 함수보다는 순밀도함수가 더 설명력이 높았다. 셋째, 밀도함수의 추정결과는 단독주택 위주의 저밀도 확산개발에 집중하는 미국의 경우와 아파트 위주의 고밀도 개발에 치중하는 우리나라의 경우의 차이를 반영하여 주었다. 넷째, 순밀도함수는 인구밀도와 주택밀도 공히 3차식과 4차식이 적합하였다. 그리고 최고밀도는 도심으로부터 9-10Km 떨어진 곳에서 나타났다.<BR>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성장관리정책과 도시기본계획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stimates population and housing density functions of a large city in both gross density and net density standard, in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By comparing these estimates of the density functions, the following results are derived.<BR> First, Clark type of the negative exponential density function is well fit in gross density standard, but poor fit in net density standard. Second,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monocentric city and policentric city is well reflected in the estimates. The trend of population suburbanization is better explained by the net density function than the monocentric-oriented gross density function. Third. the results also well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America"s low-density dispersed development pattern and Korea"s high-density residential development pattern in suburban areas. Fourth, the shapes of the net density functions of population and housing density are best fit in biquadratic and cubic equations, respectively. The highest density of population and housing is found at 9-10Km from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CBD).
〈Abstract〉<BR>Ⅰ. 서론<BR>Ⅱ. 모형<BR>Ⅲ. 인구 및 주택밀도의 추정<BR>Ⅳ. 결론<BR>참고문헌<BR>국문요약<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