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Big Five 성격 요인에 기초한 청소년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A Validation Study of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ased on Big Five Factors for Adolescents in Korea

  • 2,009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Big Five 성격요인에 기초한 “청소년 성격 검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이다. 본 검사는 신경증,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5요인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5요인에 대한 하위 26개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5요인에 기초하여 미국에서 개발된 성인용 성격검사인 NEO-PI-R과 비교하였을 때, 청소년들의 행동 문제, 학업, 비행, 위기, 정신병리 등을 예측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신경증에 정서적 충격, 특이성, 신체적 자아, 자존감의 4개 요인이 더 추가되어 10개의 하위 요인이 되었고, 나머지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의 하위 요인은 6개에서 4개로 줄었다. 성실성의 하위 요인 또한 새롭게 구성되어 동조성이 추가되었다. 연구 결과 본 검사는 내적합치도, 구인타당도 면에서 모두 청소년에게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검사의 5요인 척도별 신뢰도 계수(Cronbach a)는 .82∼.95였고, 요인의 하위척도별 신뢰도 계수는 .55∼.86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NFI=0.944, CFI=0.948, NNFI=0.937, RMSEA=0.119로 나타나 5요인 및 하위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5요인에 기초하여 개발된 “청소년 성격 검사”의 구인을 타당화함으로서 청소년 상담 실제와 연구에 있어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nbsp;&nbsp;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rsonality Assessment System based on Big Five for adolescent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ystem.<BR>&nbsp;&nbsp;936 Students(394 high school students and 54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dministered the &quot;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ased on Big Five for adolescent&quot;. As the results, &quot;Personality Assessment System based on Big Five for adolescent&quot; hows high reliability, and acceptable validity. First, Cronbach coefficients α ranged from .82 to .95 aross five factors, and ranged from .55~.86 across the 26 facets. It shows that 5 factors and their 26 facets have high internal consistency.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MOS 4.0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Fit statistics for the factor structure of &quot;Personality Assessment System based on Big Five for adolescent&quot; as adequate but RMSEA(NFI=0.944, CFI=0.948, NNFI=0.937, RMSEA=0.119). As well, it displayed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at a significant level for each 26 face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groundwork to utilize the &quot;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ased on Big Five for adolescenst&quot; in adolescent counseling by proving the valid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ity of the &quot;Personality Assessment System based on Big Five for adolescent&quot; in the area of adolescent crisis or academic problem.

요약<BR>Ⅰ. 서론<BR>Ⅱ. 연구방법<BR>Ⅲ. 연구결과<BR>Ⅳ. 논의 및 결론<BR>참고문헌<BR>Abstract<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