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中國 北方地帶와 夏家店上層文化의 청동투구에 대하여 - 기원전 11~8세기 중국 북방 초원지역의 지역간 상호교류에 대한 접근

About the Bronze Helmets from the Northen Zone of China and Upper Xiajiadian Culture(B.C. 12~7th Centuries) - concentrated on chronology and its interaction with neighboured regions

  • 215

&nbsp;&nbsp;본 고에서는 중국 북방지대와 夏家店上層文化의 투구가 어떻게 기원했으며 어떤 과정을 통해서 확산되었는지를 밝히고자했다. 먼저 夏家店上層文化을 포함한 서주~춘추시대(기원전 11~7세기) 단계 중국 북방지역과 夏家店上層文化, 발해만 등의 투구자료를 종합검토한 결과, 頂紐의 형태를 중심으로 세 형으로 투구를 분류하고 다시 側紐와 이마의 처리 방식에 따라 세부형식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Ⅰ식은 중국 북방지역에서 서주초~중기(기원전 11~9세기)에 사용되었으며 Ⅱ,Ⅲ식은 英金河유역을 중심으로 夏家店上層文化의 南山根유형에서만 사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각각 상한연대는 Ⅱ식은 南山根 101호묘에 해당하며 Ⅲ식은 짐승저립형으로 小黑石溝 8501호묘 단계에 해당한다.<BR>&nbsp;&nbsp;夏家店上層文化 투구의 조형으로는 商代 투구와의 유사성이 강한 白浮 3호묘 출토 투구가 지목되며, 이 투구는 하가점상층문화 뿐 아니라 발해만유역의 十二臺營子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 예인 烏金塘유적은 魏營子유형에서 十二臺營子문화로 전환된 전기 단계로 이 지역 가장 이른 유적인 和尙溝 유적과 十二臺營子유적 중간 단계로 편년했다.<BR>&nbsp;&nbsp;夏家店上層文化에서만 분포한 Ⅱ,Ⅲ식의 투구는 이마선의 처리, 짐승저립형과 П자형의 頂紐 등에서 소위 ‘꾸반양식’이라고 불리우는 초기 스키토-시베리아단계의 스키타이식투구와 유사하다. 필자는 흑해연안과 중앙아시아에서 발견되는 꾸반양식투구는 夏家店上層文化에서 전파된 것으로 보고 이러한 교류를 기원전 9~7세기 夏家店上層文化과 초기 스키토-시베리아유형의 제문화 사이의 원거리지역과의 교류를 통한 결과로 보았다. 이런 원거리 교류에는 유목지역간의 정보교류의 확산과 함께 사회의 발전에 따른 위신재에 대한 수요가 배경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nbsp;&nbsp;In this paper, author tries to explain the origin and diffusion of bronze helmets from Upper Xiajiadian Culture(夏家店上層文化). Author choose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from helmets as 1) 2) existence of point on the helmet&quot;s opening, 3) loops or holes on the bottom of the helmet&quot;s side and 4) mounting of edge. and classifies into 3 types. The first type were distributed on the northern steppe zone of China, and its neighboured nations as Yan. The type I is dated mainly from later 11th to 9th century B.C., based on the chinese ritual vessel with calligraphy and C14 datings. This type is mainly located in the northern steppe zone of China. Ⅱ,Ⅲ type is mainly found on the valley of Yingjin(英金河) and Laohe river(老哈河), where which were regarded as the core area of Upper Xiajiadian culture.<BR>&nbsp;&nbsp;Since the helmet from Baifu(白浮) tomb No.3 has the archaic typological attributes, similar to the Shang dynasty&quot;s one, the Baifu, dated to the late 11th century b.c. is believed to be the original type of bronze helmet from upper Xiajiadian culture. The Baifu helmet was also diffused to Shiertaiyingzi(十二臺營子) culture of Bohai region in Liaoxi. So, author reexamines Wujintang (烏金塘) tomb, where were found the bronze helmet, as the intermediate monument between Weiyingzi(魏營子) type and Shiertaiyingzi culture.<BR>&nbsp;&nbsp;The Kuban type bronze helmet, located on the northern Caucasus mountainous region has strong similiarties in typological attributes with the one from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is thought as the result of interregional interaction.<BR>&nbsp;&nbsp;In the early Scytho-siberian culture, there were many similarities as animal style, dagger, horse equipment. bits, and etc. The diffusion of helmet of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is regarded as the existence of peer-polity interaction between Upper Xiajuadian Culture and the Eurasian Steppe Scytho-siberian culture.

【국문초록】<BR>Ⅰ. 서언<BR>Ⅱ. 夏家店上層文化 투구자료<BR>Ⅲ. 형식분류 및 지역적 분포와 편년<BR>Ⅳ. 夏家店上層文化 투구로 본 기원전 11~8세기대의 문화교류<BR>Ⅴ. 결 어<BR>[감사의 글]<BR>【參考文獻】<BR>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