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유람선 고객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사례연구 - 부산지역 B사의 T호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Segmenting Cruisers - Centered on the "T" in Busan -
- 한국마케팅과학회
- 한국마케팅과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2005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
2005.11551 - 567 (17 pages)
- 178
본 연구는 국내 곤방유람선의 신규출항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시도한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시장세분화의 절차면에서는 먼저 Chung et al.(2004)의 혜택에 의한 세분화를 시도하였으며, 관광유람선의 서비스속성을 모두 도출하여 속성을 정제한 후 요인분석을 시도하였다. 요인분석결과 3개의 유의미한 요인은 청결성 및 편리성, 계절성 및 시설수준, 일탈성이었다. 한편 군집분석결과 무관심형, 크루즈선호형, 중립형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평균값이 가장 높았던 크루즈선호형 집단은 청결성/편리성, 계절성/시설수준, 일탈성의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BR> 차이분석(Chi-square)에서 보면 크루즈선호형 집단의 특징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비율이며, 20대, 30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미혼이 많으며, 대졸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 회사원, 자영업의 순으로 직업이 분류되며, 월평균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주류를 이루었다. 관광유람선 승선유무에서는 아직도 승선해 보지 못한 비율이 높으며, 동반형태는 연인, 가족, 친구/친척의 순으로 승선을 희망하고 있었다. 정보의 원천은 PC통신/인터넷이 단연 가장 많았으며, 거주지도 부산, 서울, 경남, 경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으로는 자가용이 가장 많았고, 대체장소(경쟁상대)로는 놀이공원, 영화관의 순으로 나타났다.<BR> Hest를 통해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계절성/시설수준을 더욱 많이 고려하고 있었으며,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저학력일수록 계절성/시설수준, 일탈성 요인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직, 자영업자가 모든 요인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유람선 유경험집단을 대상케이스로 하여 조사한 재방문의도 및 만족도에 따른 군집별 차이분석에서는 크루즈선호형 집단보다 중립형 집단들이 오히려 전반적인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어 향후 정책수립시 반영해야 할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BR>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은 부산지역에 국한되었으며, 관련 속성의 연구가 부족하였고, 기존고객과 신규고객의 차이분석이 시도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관련 속성의 보다 심도있는 정제작업과 기존고객, 신규고객, 충성도의 변수(집중도, 애정도 재방문의도)등을 고려하여 연구에 임해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market segmentation of cruise tourist according to launching the "T" in Busan.<BR> Benefit segmentation was used to identify attributes of cruise services; importance of ship"s physical appearance and importance of service and activities. 24 attributes were distilled to 3 factors: "Cleanliness & Convenience", "Seasonality & Level of Facilities", "Escape". A K-means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clustered segments for three importance factors in which high loyalty customer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egment. Based on the findings, three distinct groups were formed: "Spurious", "High Loyalty", "Moder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demographic and behavioral variables. Marketing and management implications for effectively targeting the segments were discussed.
〈요약〉<BR>Ⅰ. 서론<BR>Ⅱ. 이론적 접근<BR>Ⅲ. 조사설계<BR>Ⅳ. 실증분석 및 시사점<BR>Ⅴ. 결론<BR>참고문헌<BR>〈Abstract〉<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