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유럽안보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The Formation of European Security Community: The Possiblity and Its Limits

  • 147
커버이미지 없음

  본 논문은 유럽의 안보공동체의 형성 가능성과 그 한계에 관한 논문이다. 일찌기 유럽통합운동은 Jean Monnet에 의하여 전후 유럽의 경제발전과 평화를 위하여 주창되었다. 이러한 것이 경제적으로 서유럽을 중심으로 EC를 형성하게 되었고 유럽의 안보차원에서는 NATO를 중심으로 서유럽과 구소련과 Warsaw조약 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서유럽과 동구공산권이 대치해 왔다. 구소련이 붕괴되고 동구권이 민주화를 추구하면서 전유럽에 새로운 국제환경과 국제질서가 형성되었다. 독일은 재통일을 이룩하게 되었고, CSCE는 45여년간의 냉전을 종식 시키고 전유럽의 안전과 평화를 추구하는 범유럽안보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시도하고 있다. 또한 EC를 중심으로 하여 ‘마스트리히트 조약’이 체결되어 유럽의 경제, 정치, 외교국방의 통합을 통하여 유럽연방을 꿈꾸고 유럽 주체적인 안보공동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회원국들은 NATO와 WEU를 중심으로 한 공동안보체제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미국은 구소련의 붕괴 이후에도 NATO의 군사적 역할보다 정치적 경제적 역할증대를 통하여 NATO의 효용성을 높이려 하고 있다. 대체로 CSCE는 서구와 동구권 국가들이 참여하는 범유럽안보협의체라는 점에서 강점이 있지만 집단체제로서 강제기능이 없다는 것이 취약점이다. WEU는 서유럽 주체적 안보체제라는 장점이 있지만 전유럽의 안보체제로서 역할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NATO는 집단안보체체로서 체계적 조직능력과 강제 수단을 가지고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냉전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NATO가 전유럽의 안보기구로 역할하기에는 미국의 영향력 팽창이라는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유럽의 안보는 현실적으로 CSCE, WEU, NATO의 장점을 살려 취약점을 극복하면서 유럽의 안전과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생각된다.

&nbsp;&nbsp;This is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the so-called European Security community and its limits. The Idea of the European integration movement was advocated by Jean Monnet for European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maintaining of peace in Europe immedately after WWII. In the same logic, Western European countries have successfully integrated into Euroepan Economic Community, but military-security perspective, they have long confronted through NATO and Warsaw Treaty Organizaion. The former is the allied institution on which western European countries depended their national defense and security and the later is the socialist alliance through which the old USSR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had pursued their national security.<BR>&nbsp;&nbsp;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old USSR and the democratization of eastern European countries, a new European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and political order have emerged. First of all, Germany was reunified. CSCE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ding the era of the cold war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lmost 45 years since WWII, and has emerged as the pan-European security community for the security and peace of the entire Europe. Through the conclusion of the Maastricht Treaty of 1991, the member-states of EC have agreed upon the establishment of the United States of Europe by means of economic, political, and diplomatic-defense integration. They thought such a European political union would function as a common European defense system. However, each member-states of EC has different interests and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formation of a common European security community as well as the roles and functions of WEU and NATO. The Unites States considers yet NATO will be an appropriate institution, if it expands its economic and political roles rather than the military role, even in the era of the post-cold war and international peace and cooperations.<BR>&nbsp;&nbsp;Generally speaking, it is a great advantage that CSCE has encompassed all the countries of western and eastern Europe, whereas its weakness is the lack of forcible means as a collective security system. WEU may be meaningful in that it is europeanized and will function as an European. security system, but it has limits in playing the role of the entire European security system. Although NATO has a strong organization and military power, but since it is the by-product of Cold War the expansion of influence of NATO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old USSR and the socialist camp will be misunderstood as that of the United States.<BR>&nbsp;&nbsp;In conclusion, therefore, it is a best alternative that by encouraging the advantageous points of CSCE, WEU, and NATO and complementing each weakness of others, these organizations .pursue the cooperation in the European security and peace.

Ⅰ. 영광의 꿈 : 유럽공동체<BR>Ⅱ. 마스트리히트 조약(the Maastricht Treaty)<BR>Ⅲ. 유럽의 고민: 유럽은 안보<BR>Ⅳ. 유럽의 국제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안보문제<BR>Ⅴ. 유럽의 선택: 유럽안보공동체<BR>Ⅵ. 결론: 유럽안보공동체의 한계<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