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인도의 식민지화와 독립 후 사회경제 구조변화

Colonization of India and Socio-Economic Changes after Independence

  • 804
커버이미지 없음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nbsp;&nbsp;인도에서 영국 지배의 파괴 작용은 자본에 의한 세계적 사회변혁의 일환으로 파악된다. 파괴적 작용의 거대한 파도를 정면에서 받은 인도 사회는 지역적으로 불균등한 경제발전의 수준을 가지고 있었고, 농업을 기본으로 하는 카스트 공동체적 규제가 강한 전통적 사회였다. 영국의 인도 정복은 이러한 인도 사회가 서서히 그 봉건적 껍데기를 벗어버릴 즈음 영국이 이를 세계 자본주의 틀 안으로 폭력적으로 끌어들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BR>&nbsp;&nbsp;영국의 인도 식민 지배는 영국이 중상주의 단계에서 산업자본주의 단계로 이행함에 대응해서 변화해 갔으며, 세포이 혁명 종식을 계기로 영령 인도의 외연적 확대를 일단락 짓고, 동인도회사 대신 영국 정부의 직접 통치에 의해 정치적 지배 체제를 완성함과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인도를 종전의 영국공업제품에 대한 시장으로서의 역할 외에 공업 원료, 식량의 공급지 역할을 담당하게 함으로써 보다 강도 높은 정치적, 경제적 예속을 바탕으로 한 전형적 식민지 인도 사회가 전개되어 갔다.<BR>&nbsp;&nbsp;이 논문은 1700년대 중반 이후 영국의 식민정책의 전개 과정에 조응한 인도 경제 사회의 동태 분석 및 독립 후 1960년대까지 정부 주도 하에 이루어진 사회주의형 사회건설과정에서 야기된 사회경제 구조변화를 구명해내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우선 동인도회사의 전개과정, 토지제도 개혁과 조세제도, 영국의 산업 혁명과 대외무역, 자본 수출과 철도 건설, 상업적 농업의 전개과정 및 양차 세계대전과 공업화 등을 중심으로 독립 이전까지의 사회경제 변동에 대해 알아본다. 아울러 1947년 독립 후 국가에 의한 계획적 공업화과정과 외국자본의 유입 및 독점 재벌의 경제력집중 현상을 중심으로 독립 후 사회경제 구조의 변화를 추적해본다.

&nbsp;&nbsp;Britain’s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trengthened the economic and political position of the industrial bourgeoisie. This new period in the history of British capitalism, which pushed the interest of the industrial bourgeoisie into the forefront, changed the approach to the colonial exploitation of India. The East India Company needed India chiefly as a source of cheap goods and other riches usually acquired through plunder. The industrial bourgeoisie was faced with the problem of turning India into a market for Britain&quot;s industrial output and a source of raw materials for industry.<BR>&nbsp;&nbsp;What new elements in the system of the colonial exploitation of the peoples of India were introduced by industrial capital? The policy of trade plunder was augmented by the export of cheap industrial goods from Britain, which had a truly catastrophic effect on the Indian economy and society. India was gradually being turned into supplier of raw materials for Britain, and this process completed the final subjugation of the country to the power of industrial capital. By making India the market for their industrial goods, the colonialists undermined the organic ties between the crafts and agriculture which had existed in the communities. In this background, this- paper highlights the socio-economic changes of India under the British colonial rule and modem India after independence.

Ⅰ. 들머리<BR>Ⅱ. 인도의 식민지화와 사회 경제 변동<BR>Ⅲ. 양차 세계대전과 인도의 사회경제적 변화<BR>Ⅳ. 인도의 독립과 계획적 공업화<BR>Ⅴ. 외국자본의 유입과 국내재벌의 성장<BR>Ⅵ. 마무리<BR>〈참고문헌〉<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