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경제통합의 현황과 전망 - MERCOSUR를 중심으로
Background and Prospect of the MERCOSUR
-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 국제지역연구
- 지역연구 제3권 제3호
-
1994.11131 - 170 (40 pages)
- 154
1991년 3월 26일 아순시온에서 브라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및 우루과이는 1995년 1월l일 까지 1) 상품, 서비스, 금융자원 및 근로자들의 자유로운 이동, 2) 비관세 장벽들의 철폐, 3) 역외수입에 대한 공동관세 적용, 4) 거시경제정책 및 무역, 농업, 운송 및 통신분야 등의 정책 조율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함께 노력하기로 다짐하였다. 그러나 유럽의 경우 거의 40년이나 소요된 일을 불과 4년만에 해내려고 하는 과정에서 이들은 막상 적지 않은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특히 MERCOSUR GDP의 9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역외수업에 대한 공동관세율, 상당기간 보호조치를 허용하는 무역자유화 예외품목, 상이한 경제정책 동을 놓고 첨예한 대립을 빚기도 하여 남미에서 여러 차례 시도되었던 여타의 경제통합 노력과 마찬가지로 MERCOSUR도 유명무실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는 지경에 까지도 이르게 되었다.<BR> 그러나 많은 우여곡절을 거치고 그간에 표출된 회원국들 간의 차이를 조정하는 실무작업을 거쳐 1994년 8월 5일 부에노스 아이레스 정상회담에서 4개국 정상들은 공동시장형성의 의지를 재천명하며 1995년 l월 1일 부터 남미공동시장을 출범시키기로하는 협정을 조인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아순시온협약 이후에 회원국들간에 표출되었던 심각한 이견과 갈동을 감안하면 상당한 발전이었다.<BR> 역내에서 민주화 개방화 민영화가 계속 확대되고 경제적 안정기반이 구축되고, 나아가 칠레와 볼리비아를 위시한 주변국가들을 회원국으로 받아들여 MERCOSUR의 영역이 확대된다면, 국제무역환경에서 MERCOSUR가 차지하는 위상과 영향력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전망되고 있다. MERCOSUR의 추진배경과 목적, 진척경과 및 현재의 상황, 회원국들의 교 역 및 투자여건, 한국과의 경제관계, 공동시장 형성의 효과 및 활성화의 요건 등을 살펴본다.
On March 26, 1991, in Asuncion, the four South American countries - Arjentina, Brazil, Paraguay and Uruguay-signed an agre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mon market of the southern cone(MERCOSUR)”. This common market was to involve 1) the free movement of goods, services and factors of production among the member countries through the elimination of customs duties and non-tariff restrictions, 2) establishment of a common external tariff and adoption of a common trade policy in relation to the Third States or groups of States, and 3) coordination of macroeconomic and sectoral policies between the States Parties in such areas as foreign trade, agriculture, dustry, fiscal and monetary matters.<BR> In their effort to accomplish in only four years what the European countries have achieved in forty years, these countries came across many unexpected problems. Conflicts over the issues of common external tariff, sensitive products, and economic policy measures among the member countries reached so high a level that some experts predicted that the MERCOSUR would be one of the unsuccessful attempts for economic integration made in the region. However, on August 5, 1994, at the summit conference held in Buenos Aires, the four member countries overcame a long-standing dispute and agreed upon a compromise formula allowing the creation of a customs union on January 1, 1995.<BR> At present, the impact of the MERCOSUR in the arena of international trade is not considered to be so far-fetching. However, if these countries keep marching toward more liberalization, democratization and privatization, the MERCOSUR may evolve as one of the influential palyers in the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The background of the MERCOSUR creation, conflicts and compromises among the member countries, their trade and investment climates, their economic relations with Korea, the impact of the MERCOSUR creation, and the prerequisites for its successful operation have been reviewed and analyzed.
Ⅰ. 서론<BR>Ⅱ. MERCOSUR 경제통합의 추진 배경과 목적<BR>Ⅲ. MERCOSUR 공동시장의 추진상황<BR>Ⅳ. MERCOSUR 회원국의 교역 및 투자환경<BR>Ⅴ. MERCOSUR 공동시장 형성의 효과와 영향<BR>Ⅵ. MERCOSUR 활성화의 선결과제<BR>Ⅶ. 결론<BR>〈참고문헌〉<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