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루한의 미디어 이론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국내에 소개되어 왔다. 그러나 인쇄 미디어를 주로 다룬 임상원ㆍ이윤진의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론」을 제외하고는 맥루한에 대한 미디어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인쇄 뿐 아니라 TV, 인터넷[컴퓨터] 미디어 등 맥루한의 미디어를 총괄적으로 다루었다. 맥루한이 언급했던 ‘감각기관의 확장’의 개념을 이용하여, 본고는 이들 미디어의 속성을 연구했다.<BR> 인터넷 미디어에 관한 맥루한의 이론은 언론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 되지 않고있다. 설령 다루었다고 하더라도 미흡한 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그 결과 인터넷 미디어에 대한 맥루한의 관심을 다루는 것도 중요한 연구 과제 중의 하나이다.<BR> 맥루한은 토론토 대학의 ‘문화ㆍ기술 센터 소장’ 재임 시 학제 간 연구로 인터넷 미디어에 관해서 많은 부분 언급했다. 그는 게임의 원리를 지적하고, 컴퓨터를 신경계의 확장으로 고려했다. 그의 ‘가상성’(virtuality)은 ‘지구촌’은 을 확장하는 의미를 지녔다.<BR> 맥루한의 ‘감각의 확장’에 따라 논의를 전개하면, 감각의 인지가 가져다주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맥루한의 ‘감각 기관’의 확장 의미 자체도 우리에게는 관심꺼리가 될 수 있지만, 그 문제 또한 우리의 관심이 될 수 있다. 맥루한의 「기계신부」는 전자 매체가 지닌 위험성을 집중적으로 논했다. 우리 전통사회의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은 ‘器’를 ‘氣’로 묘사함으로써 감각의 역동성을 이야기했다. 그들에 의하면 기술은 ‘기기음교’(奇技淫巧: 기묘하고 음탕함)으로 간주했다. 동도서기론자는 맥루한의 ‘기계신부’의 비판적 관점과 다분히 관련이 있는데, 여기서 ‘器’는 우리네의 ‘東道’에서 문제점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서구 문화에 익숙한 우리의 입장에서 맥루한 연구가 무슨 의미를 주는지가 논의도 본고의 관심의 영역이다.
Marshall McLuhan’s ideas are popular in Korea. But McLuhan’s theory is mainly introduced as a theory of the print media. His theory of Radio, TV and Online media still remains as a topic requiring further study. Media theorists argue in South Korea that McLuhan’s ideas about online media will be critical areas of academic research in the years to come. ’<BR> According to McLuhan, media are an extension of humans’ five senses, which themselves operate as an extension of the human nervous system. In this paper, I survey McLuhan’s concepts of Printing, Radio, TV, and Internet media. Because of his death in 1980, McLuhan’s theories of new media were left undeveloped. This paper will show how McLuhan’s ideas regarding the extension of the nervous system and tactility can be applied to the new, online media.<BR> McLuhan explained that the electronic media of his time were an extension of the human senses. However, he demonstrated, too, that media as tools to extend the senses had negative side-effects. In his work The Mechanical Bride, McLuhan emphasized the negative roles of the electronic media. In Korean tradition, as well which is characterized as Eastern Tao-focused as opposed to Western tools-focused(東道西器論)the Western logical tools that confused Koreans had a negative image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Today, the Internet media can be viewed as either positive or negative forces affecting humanity. The online media are "multi" and excite multiple senses. This paper uses Taoist ideas to show how the negative roles of electronic media can be transformed into positive roles. This is done by means of analyzing the ontological foundation of the Internet media.
Ⅰ. 서론<BR>Ⅱ. 본론<BR>Ⅲ. 결론<BR>참고 문헌<BR>〈Abstract〉<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