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039757.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량발생액과 경제적 부가가치와의 관련성

The Releva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Economic Value Added

  • 55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는 성과지표인 경제적 부가가치와 재량발생액과의 관련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을 1999년부터 2001년까지 947개 기업을 대상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경영자가 재량발생액을 증가시켜 기업의 경영성과지표인 경제적 부가가치를 과대계상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추가분석을 통해 재량적 회계선택을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동으로 시장이 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제적 부가가치는 전통적인 회계이익와는 달리 회계적 추정이나 임의성을 최소화하고 회계 조작을 배제하고자 하는 성과지표이다. 하지만 앞선 결과에서 보듯이 재량발생액과는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경영자가 영업활동과 관련된 수익과 비용을 재량적으로 활용하여 성과를 증가시킴을 볼 수 있다. 즉 경제적 부가가치는 그 계산상의 자의성에 비추어 볼 때 경영자의 회계 조작을 배제되는 새로운 성과지표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는 연구결과이다.

&nbsp;&nbsp;Recently, managers have advocated that a trade marked variant of Economic Value Added could be used instead of earnings or cash from operations as a measure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performance.<BR>&nbsp;&nbsp;This study tests assertions that Economic Value Added(EVA) is more highly&nbsp;&nbsp;associated with discretionary accruals.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s for 947 Korean firms over 1999-2001 are as follows ; The cor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 EVA is positive. Managers&quot; discretionary accounting choices are opportunistic and related to market assessments. This implies that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distort earnings, probably because of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In this case, the pricing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evidence of mispricing.

요약<BR>Ⅰ. 서론<BR>Ⅱ. 선행연구와 가설설정<BR>Ⅲ. 표본선정 및 모형설계<BR>Ⅳ. 실증분석결과<BR>Ⅴ. 요약 및 결론<BR>[부록] 경제적 부가가치의 산출<BR>참고문헌<BR>Abstract<BR>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