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039959.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문화의 전승과제 탐색 - 연구자 가정제례와 학술활동을 중심으로

The search for transmission tasks for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erms of the researcher’s ancestral rites and academic activities

  • 84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연구자 자신의 가정제례와 학술활동의 변화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여, 한국 전통문화의 전승과제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전통문화는 유물과 같은 유형문화에서는 온전한 전승이 가능하지만, 가정제례와 같은 무형문화는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며 각 세대의 특성과 선택이 반영되는 변화를 피할 수 없음을 파악하였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무형의 전통문화는 시대적 판단에 따라서 권위를 부여받은 옛 문화라고 보았다. 이 관점에서 보면, 무형의 전통문화에 있어선 그 원형이나 모범을 따지기보다는 전통문화의 실체와 그 전승과제를 인식하는 일이 중요하다. 즉, 전통문화의 원형이나 모범을 단정한 채 가르치기보다는, 근대와 탈근대 문화와의 합리적인 접점에서 활용과 전수 방향을 안내해 주는 안목이 필요하다. 전통문화는 우리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았기에 소중할 뿐만 아니라, 지금 우리의 삶에 새로운 활력을 줄수 있는 유구한 문화자원이기에 소중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우리가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전통문화를 연구하는 방법, 발굴하여 보존하는 과제, 그리고 활용하여 전수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asks for promoting the transmission of current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is culture, accordingly, has been analyzed and reflected within the researcher"s ancestral rites, academic activities, and related referen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ince April 2003. Results revealed that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uch as relics have been handed down between generations with little changes, but intangible ones such as ancestral rites have not been transmitted principally to the next generation without modification. It means that intangible traditional culture is the legacy both modified and transmitted continually according to each generation"s selections and/or historical authorities. Considering this, it is more important to recognize the reality and transmission tasks of an intangible traditional culture, rather than to emphasize a typical representation and/or to concentrate on the original shape of one. Also, it is reasonable to acknowledge that it is better to find the connecting points between a traditional culture and (post-)modern one(s) for effective transmission of the traditional one, rather than to teach coercively a pseudo original tradition.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culture is a precious knowledge heritage transmitted from our ancestors to us,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an important resource for our creative lives and thought. This paper, therefore, attempts to suggest some guideline tasks: task for proper study, for finding and preserving, and for using and transmitting traditional cultural properties.

《요약》<BR>Ⅰ. 서론: 연구문제의 인식과 경과<BR>Ⅱ. 전통문화의 변화<BR>Ⅲ. 전통문화의 실체<BR>Ⅳ. 전통문화의 영역별 전승과제<BR>Ⅴ. 맺는말<BR>참고 문헌<BR>Abstract<BR>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