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 존중감 및 자기결정 동기가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0권 제3호
-
2006.09177 - 202 (26 pages)
- 2,286
이 연구는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및 자기결정동기가 학습활동에서의 자기주도적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힘으로써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자기결정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 학습준비도는 자기결정동기가 높을수록 높은 정적 상관관계(r=.70)를 보인 반면,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동기는 그 보다 낮은 정적 상관관계(r=.41)를 보여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자아존중감보다 자기결정동기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기결정동기와는 별로 관련이 없음을 나타냈고, 자기결정동기도 자아존중감과는 관련 없이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이들 두 변인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상호작용하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과 내적동기유발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어느 하나의 요인만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elf-esteem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 self-directed learning in studying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For such purpose, self-esteem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degree of 200 college students were observed. It was found from the result that self-directed learning preparation degree was higher for higher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howing high static correlation(r=.70), while self-esteem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howed lower static correlation(r=.41) than the former. This indicates that self-directed learning degree was influenced b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an self-esteem.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self-directed learning degree i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whil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s independent on self-directed learning influencing self-directed learning. That is, such two factors do not correlate to self-directed learning. The above result shows that we need not consider self-esteem and inner motivation induction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also shows that we need to develope a program improving one of the factors.
《요약》<BR>Ⅰ. 서론<BR>Ⅱ. 이론적 배경<BR>Ⅲ. 연구방법<BR>Ⅳ. 연구결과 및 논의<BR>Ⅴ. 결론 및 제언<BR>참고문헌<BR>ABSTRACT<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