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기준국을 이용한 RTK GPS측위의 좌표변동 시험
Tests of RTK GPS Positioning Using Multiple Reference Stations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한국지적학회지 제23권 제1호
-
2007.06133 - 142 (10 pages)
- 126

실시간이동측위(RTK)는 관측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성과산출이 이루어지므로 후처리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지측위에 비해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빠른 시간 안에 측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준국과 이동국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기선장에 따른 오차가 증가하게 되어 추정위치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RTK측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중기준국(multple reference station) 또는 GPS 상시관측소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RTK측위 방식이 개발되었다.<BR> 본 논문에서는 Network RTK기법을 이용한 좌표산정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기준국 기반의 RTK측위와 단일기준국(single reference station)기반의 RTK측위의 테스트를 통해 산정된 좌표의 변동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The GPS static positioning techniques are required a post processing procedure to estimate a coordinates, but the real-time kinematic positioning(RTK) technique can be reduced surveying works because of computing a coordinates in real time. The RTK technique also rapidly observed many unknown points in small area. But, an accuracy of estimated coordinates by the RTK positioning decreased according as a baseline length increased between a reference station and a rover.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of RTK positioning, the network-based RTK techniques using 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 are developed as known the multi-reference station based RTK. In this paper, to certify a stability of coordinate estimation of network-based RTK technique, the coordinates variance estimated using multiple reference stations based RTK was appraised as compared to the standard RTK positioning using single reference station.
요약<BR>ABSTRACT<BR>1. 서론<BR>2. GPS 오차모델<BR>3. Network RTK 측위 기법<BR>4. 실험 및 분석<BR>5. 결론 및 제언<BR>〈참고문헌〉<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