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老子想爾注』 를 통해 본 노자사상의 종교화 작업

A study for Laozu thought"s transforming from thought to religion by analysing Laozu-Shangizoo

  • 300
041066.jpg

  이 논문은 『老子想爾注』에 대한 분석을 통해, 老子사상이 종교화되고 『老子』가 초기 道敎의 기본 경전이 되어가는 과정을 탐색하고 있다. 漢代에는 이미 여러 가지 측면에서 종교 발생의 토양이 충분히 준비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토양과 조건들을 바탕으로 동한 말기에 중국 고유의 종교인 도교가 형성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바로 『노자상이주』다. 『노자상이주』는 초기 도교 집단 중의 하나였던 五斗米道의 지도자 張陵 및 張魯에 의해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형식은 기존의 『노자』에 주석을 가하는 형식이다. 그러나 이 주석 작업은 ‘노자사상의 종교화’라는 목적 하에 진행되었으므로 다른 『노자』 주석서들과는 차별된 모습을 보인다. 즉 『노자상이주』에서 『노자』 경문의 의도적인 개조 작업, 老子 및 道의 神格化 현상, 그리고 信道와 道誡에 의한 신앙체계의 확립 등과 같은 특징들을 찾아 볼 수 있다. 『노자상이주』에 나타나는 이러한 작업은 『노자』의 왜곡으로 비판받을 수도 있지만, 도교 사상사의 측면에서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노자상이주』는 『노자』사상을 종교화함으로써 초기 도교의 기본 경전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道家와 道敎가 연결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의미를 지닌다.

  This essay is study for a transformation from thought to religion in Laozu by analysing Laozu-Shangizoo. Laozu-Shangizoo was written by Changlng and Changlo who established the early Taoism Odumitao. This book is a kind of commentary for Laozu. But this commentary is very different from other commentaries, because it had been written for the purpose of religion. In Laozu-Shangizoo, we can find out special pictures such as reconstruct of Laozu and deification of Laozu and tao. This pictures can be criticized as distortions of Laozu"s thought. But in the religious Taoism, these have a very important meaning. Namely, Laozu-Shangizoo had not only produced a Taoism"s scripture but also had offered a connection philosophical Taoism and religious Taoism.

【논문 요약】<BR>Ⅰ. 노자와 도교<BR>Ⅱ. 종교 발생 토양으로서의 漢代와 『노자상이주』의 탄생<BR>Ⅲ. 경문 개조 및 신격화 작업<BR>Ⅳ. 信道 및 道誡의 신앙체계<BR>Ⅴ. 도교 사상사에서 『노자상이주』의 역할과 의미<BR>참고 문헌<BR>【Abstract】<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