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근저당권의 현황과 과제 - 민법개정안 제357조의2(피담보채권의 범위)를 중심으로

Present condition and subject of maximal collateral - The article 357-2(the arrange of the credit secured by maximal collateral) of the Korean civil code in center -

  • 172
041392.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nbsp;&nbsp;실제로 근저당권이 계속적인 거래관계가 예상되는 계약에서 나오는 채권만을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의 채권만을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되기도 한다. 우리 민법은 근저당권을 불특정의 채권만을 담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지 않고, 판례도 특정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근저당권을 설정한 경우 근저당권으로서의 효력이 없다고 하지는 않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등기내용대로 근저당권에 해당하나 다른 채무를 담보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보아도 충분할 것이다. 따라서 최고액을 한도로 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근저당권설정계약을 등기원인으로 한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경료되어 있으면, 근저당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BR>&nbsp;&nbsp;한편 포괄근저당의 유효성문제는 피담보채권의 범위를 포괄적으로 하는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문제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근저당권에서의 부종성 문제에 관한 입장에 따라 결론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근저당권 설정당시에 기본적인 법률관계 또는 기본거래관계가 반드시 존재하고 있어야 하는 가라는 문제이다. 채권담보를 전제로 하지 않는 근저당권은 성립할 수 없지만, 구체적으로 채권을 지정할 필요 없이 어떤 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근저당권을 설정한다는 의사로 근저당권설정계약을 체결했으면 그 계약은 유효라고 보아야 한다. 근저당권설정계약을 체결하고 그 등기를 한 경우에는 당사자들에게는 근저당권으로 어떤 채권을 담보하게 하려는 의사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 채권의 성립여부는 문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근저당권에서 부종성이라는 것은 어떤 채권을 담보한다는 점, 근저당권설정시에 채권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점에 있다고 볼 수 있고, 근저당설정시에 기본계약이 존재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성립에 관한 부종성도 문제되지 않는다. 포괄근저당권에서는 그 유효성 문제가 중요한 논점이 아니라, 포괄근저당권이 유효하다고 하였을 때, 개개의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을 결정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실제로 포괄근저당권을 설정할 의사가 있었는지, 약관의 형식을 띠고 있는 경우에 이에 관한 내용통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가 더욱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nbsp;&nbsp;Actually, maximal collateral is not set only for the mortgage of bond Acoming from a contract which is expected, but also for mortgage of the current bond in some cases. Our civil code doesn&quot;t provide that the maximal collateral is only for the unspecific bond, a judicial precedent doesn&quot;t also mention that in case the maximal collateral is set up for the mortgage of the particular bond, the effect of that mortgage doesn&quot;t exit. Therefore, in this case, even though it is belong to that mortgage following the contents of registration, it is sufficient not to consider taking a mortgage other liabilities. Consequently, the value of bond in limit, if established registration of maximal collateral is completed by the cause of registration to secure bond, that should be belong to the maximal collateral.<BR>&nbsp;&nbsp;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problem of comprehensive maximal collateral is about if it is possible to set up maximal collateral which makes the arrange of the credit secured by the collateral be wholly, so this problem isn&quot;t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aspect about subsidiary character&quot;s problem in maximal collateral. This is the problem whether there must be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of law or relationship of contract at the time of the collateral set. Even though it is impossible that the maximal collateral realizes without any prerequisite of the security of a bond, if the established contract of maximal collateral is contacted with an opinion to set up the maximal collateral in order bond mortgage without necessity to designate the bond on the concrete, that contract should be valid. Because in case that the registration of maximal collateral is completed after conclusion of a contract of that collateral, contracting parties seem to have an opinion to make some bond be in mortgage with their maximal collateral. Of course, it is not problem whether or not the bond is concluded, so subsidiary character at maximal collateral means mortgage of a bond and a bond which should exist at the time of conclusion of maximal collateral, the based contract doesn&quot;t have to exit at that time. Therefore the subsidiary character about the conclusion is not problem. The effectiveness is not that point in comprehensive maximal collateral, it is much more important problem, in case that maximal collateral is effective, what is the standard to make a decision the credit secured by maximal collateral of each maximal collateral, actually if there is an opinion to conclude comprehensive maximal collateral, if that maximal collateral seems to be a form of clause, how the content is controlled.

Ⅰ. 서론<BR>Ⅱ. 근저당권의 의의 및 특질<BR>Ⅲ.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 범위에 관한 개정안 제357조의2<BR>Ⅳ. 피담보채권의 불특정성<BR>Ⅴ. 포괄근저당권의 유효성<BR>Ⅵ. 결론에 갈음하여<BR>《참고문헌》<BR>《국문초록》<BR>《Abstract》<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