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A Rhetorical Study on Linguistic Features and Argumentation in the Discourse of the Iraqi Resistance Group - with special reference to Zarqawi"s JTJ

A Rhetorical Study on Linguistic Features and Argumentation in the Discourse of the Iraqi Resistance Group

  • 12
커버이미지 없음

&nbsp;&nbsp;본 연구는 이라크 내에서 활동중인 저항단체들 중에서 외국인 납치 살해 위협 등으로 언론보도를 통해 널리 알려진 아부 무스압 알 자르까위(Abu Mus&quot;ab al-Zarqawi)의 "일신교와 성전"(Jama&quot;at al-Tawhid and Jihad)에 의해 발표된 담화의 내용분석과 언어적, 수사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담화 분석은 시기적으로 이라크 전쟁 종전 선언 이후 납치 살해사건이 극성을 부린 2004년 한 해 동안에 자르까위와 JTJ의 이름으로 행한 담화와 텍스트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BR>&nbsp;&nbsp;설득과 쟁론의 의사 전달기능을 가진 담화는 발화자인 자르까위가 특정의 계획된 의도를 가지고 언어를 선택하고 변형한 것이므로 언어적 변이인 ‘언어요소"(linguistic elements)에 부여된 가치를 설명하고, 왜 이러한 언어 선택이 이루어졌는가를 해석하고자 하였다.<BR>&nbsp;&nbsp;분석 결과, 우선 자르까위는 그의 담화에서 대부분의 아랍 정치 지도자들과는 달리 문어와 구어의 코드 바꾸기(code-switching)에 의존하지 않고 순전히 문어체 아랍어만을 사용하였다.<BR>&nbsp;&nbsp;또한 발화 상황에서 자기 언급(self-referencing)을 조사한 결과, 자르까위는 일인칭대명사를 발화 주체로 나타내는 빈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일인칭 복수 대명사와 그 변형의 사용은 참여와 연대, 단결을 의미하였다. 이는 자르까위가 많은 인용어법을 사용한 것과 더불어 자신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수사적 전략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의사 전달행위를 위한 표현적 기법으로서 청자로 하여금 담화중의 어떤 것에 주목하게 만드는 돋보임(presence)기법에 유의하여 텍스트를 분석하였다.<BR>&nbsp;&nbsp;또 진위 여부와 이른바 자르까위-빈 라덴의 연계설로 논란이 되었던 자르까위의 편지문서는 원본 자료로 간주되었으며, 내용분석과 수사적 분석을 통해 자르까위와 빈 라덴과의 사전 연계설을 반증해 보고자 하였다.

1. Introduction<BR>2. The Language of the JTJ Discourse<BR>3. Identity Construction<BR>4. Linguistic Devices for Argumentation in the JTJ Discourse<BR>5. Rhetorical Analysis of the Text from al-Zarqawi&quot;s Letter<BR>6. Conclusion<BR>References<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