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직무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권 종사자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Burnout - Based on the Professions Working in Financial Companies

  • 1,664
044018.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nbsp;&nbsp;직무소진과 관련된 연구들은 대부분 선행요인을 파악하거나, 직무소진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들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전체적인 관점에서 직무소진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함께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부담 변수인 역할과부하 및 역할갈등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밝히고, 직무소진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직무소진의 역할을 파악하고자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BR>&nbsp;&nbsp;연구 결과 역할과부하는 직무소진의 세 가지 변수 중 정서적 소진과 정의 관계가, 역할갈등은 정서적 소진/비인격화와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직무소진의 세 가지 요인과 모두 부의 관계가 나타났고, 이직의도와는 정서적 소진 및 비인격화와 정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정서적 소진은 역할과부하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다. 그리고 비인격화는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BR>&nbsp;&nbsp;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와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nbsp;&nbsp;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at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outcomes such a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a random sample of 281 professions working in 6 financial companies. The questionnaire included multiple-item scales on seven perceived sources of job demands such as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outcom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Results showed that role overload proved to be strong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al exhaustion and that role conflict positively related to both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ll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are negatively related to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are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n cases of mediating effects of job burnout, role overload decreases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role conflict increase turnover intention through increased emotional exhaustion. Role conflict increases turnover intention through increased depersonalization.

요약<BR>Ⅰ. 서론<BR>Ⅱ. 연구배경 및 가설설정<BR>Ⅲ. 연구방법<BR>Ⅳ. 가설 검증<BR>Ⅴ. 결론<BR>참고문헌<BR>Abstract<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