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南東部地域 馬韓~百濟系 住居址의 變遷과 그 意味
The changes and significance in the dwelling site of Mahan~Baekje in East Jeonnam
- 한국고대학회
- 선사와 고대
- 先史와 古代 27輯
-
2007.12165 - 189 (25 pages)
- 353

본고는 전남동부지역에서 馬韓, 加耶, 百濟의 순으로 정치체가 변하면서 住居樣式과 出土遺物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고찰이다. 전남동부지역은 마한, 가야, 백제문화의 중심부가 아니라 주변부라는 점에서 토착문화와 새로운 문화사이의 상호관계와 변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적절한 곳이다.<BR> 전남동부지역이 4~5세기대에 馬韓의 主流文化나 加耶文化의 영향은 받았지만 토착문화를 유지하면서 서서히 변한데 비해, 直接支配下의 百濟(6~7세기) 文化는 이 지역의 문화를 급격히 변화시켰다. 즉, 백제가 6세기전반기에 이 지역을 영역화하면서 백제산성, 백제고분과 더불어 백제 주거지, 백제 토기와 기와 등이 동시에 들어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백제의 직접지배를 반영하고 있으며 백제중앙문화의 이식을 의미한다.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how dwelling site and artifacts changed as the political entity altered in the order of Mahan(馬韓), Gaya(加耶) and Baekje(百濟) in East Jeonnam. East Jeonnam is appropriate to investigate the mutual relation and changes between indigenous culture and new culture, because the region was not the center, but circumference of Mahan, Gaya and Baekje culture.<BR> Though affected by the main culture of Mahan or Gaya culture in the 4~5th century, East Jeonnam Area gradually changed, maintaining the indigenous culture. However, Baekje (6~7th century) culture which was under direct rule rapidly changed the culture of this area. That is, as Baekje incorporated this area to it s territory at the beginning of 6th century, Baekje residence, Baekje pottery and tiles were imported with Baekje Castle and Baekje Tumulu s. This reflects the direct rule of Baekje and means the transplant ation of Baekje central culture.
【국문초록】<BR>Ⅰ. 머리말<BR>Ⅱ. 馬韓系 住居址<BR>Ⅲ. 加耶系 住居址<BR>Ⅳ. 百濟系 住居址<BR>Ⅴ. 맺음말<BR>【參考文獻】<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