ﺑﻴﻦ اﻟﻤﻮروث اﻟﻠﻐﻮ ي و اﺟﺘﻬﺎدات اﻟﻤﻌﺎﺻﺮﻳﻦ ﻣﺎ ﻳﺴﺘﻮ ي ﻓﻴﻪ اﻟﻤﺬآﺮ واﻟﻤﺆﻧﺚ
- 4

아랍어에서는 여성형 명사나 형용사의 발음에는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어떠한 단계에서든지 여성형을 나타내는‘타 마르부타’가 첨가되어야 한다고 고착되었다.<BR> 남성형에는 일반적으로 대부분‘타’(‘타 마르부타’)가 첨가되지 않는다. 그런데 남성형과 여성형에‘타’(‘타 마르부타’)가 없어 구분이 없이 사용되는 발음이 있다. 언어학자들과 사전 편찬자들은 이러한 어휘를 ‘남성형과 여성형이 동일한 것’이라는 용어로 부른다.<BR> 옛 언어학자나 통사론, 형태론 학자들과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형태를 상이하게 다룬다. 일반적으로 옛 학자들은 이러한 형태들이 아랍어에 오랫동안 사용되어오기에 아랍인들이 이를 지켜서 사용하며, 이를 근거로 논리를 전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현대 학자들 중에서는 이러한 형태를 부인하면서, 이러한 형태는 예외이며, 논리에 맞지 않고, 용례도 적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자신의 주장에 일부 옛 학자들의 의견을 인용한다.<BR> 본 연구에서는 옛 학자와 현대 학자의 의견을 다양하고 충분하게 다루어 이러한 견해를 논하고, 정리함으로, 이러한 형태가 - 옛 언어학자들이 주장하듯이 아랍어에 오랜 세월 뿌리를 내리고 정착되어온 것으로, 결코 부인하거나 과소평가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형태는 아랍어가 발달하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며 아직도 여러 아랍국가의 다양한 언어 층위에서 사용하는 현상임을 연구하여 간략하게 요약한다.
????? .1<BR>???? ???? ????? ??? ?????? .2<BR>????? ??????? ??? ????????? ???????? .3<BR>????? ???? ?????? ???? ????? ?????? ????????? .4<BR>?? ????? ??? ?????? ??????? ?? ??????? ?????? .5<BR>???????? ???????? ??? ????? ?? ??? ???? ??????? ????? .6<BR>????? ??? ????????? ??????? ??????? ???? .7<BR>??????? ????????<BR>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