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대회자료

집합건물의 3차원지적 등록을 위한 측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dastral Surveying for 3D Cadastral Registration of Multiplex Building

  • 110
048152.jpg

&nbsp;&nbsp;급속한 산업화 및 도시집중화로 인한 지하 및 지상의 개발로 토지의 입체적인 활용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차원 정보만을 제공하는 현재의 지적제도를 개선하여 토지의 업체적인 활용 정보를 제공하는 3차원 지적이 요구되고 있다. 3차원 지적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상과 지표, 지하에 있는 다양한 객체의 3차원 모델을 효율적으로 취득하여 등록해야 한다. 이러한 객체들 중에 빌딩은 가장 중요하고 관심 있는 객체로 고려되어 진다.<BR>&nbsp;&nbsp;이에 본 연구는 건물의 3차원 모델을 효율적으로 취득하는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현재 사용가능한 4가지 방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한다. 여기서 2가지 방법은 각각 전자평판의 타켓측량과 무타켓 측량 방법이고, 반면에 나머지 방법은 수치지형도와 건물배치도를 이용한 간접적인 방법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일부 지역에 대해 이러한 4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취득된 빌딩 모델의 정확도 및 완전성, 다양한 현장 여건에 대한 적용성 및 비용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어떠한 방법도 제시된 모든 측면에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BR>&nbsp;&nbsp;결론적으로 새로운 효율적인 방법이 실용화되기 전까지 아래와 같은 임시적인 방법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이 방법에서 건물의 수평경계는 기존의 건물현황측량과 건물배치도로부터 결정하고, 건물의 높이는 설계상의 제원에 층수를 곱하여 간접적으로 결정한다.

요지<BR>1. 서론<BR>2. 외국의 3차원 지적에 대한 동향 분석<BR>3. 3차원 건물현황 등록을 위한 실험<BR>4. 종합분석 결과<BR>5. 결론<BR>참고문헌<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