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GPS 상시관측소에 의한 세계측지계 산출좌표의 성과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World Geodetic Datum Coordinates Computed by Using GPS Permanent Stations

  • 100
049087.jpg

&nbsp;&nbsp;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남도 권역에 있는 GPS 상시관측소를 이용하여 산출한 세계좌측지계 성과를 비교 분석하여 경상남도 권역의 세계측지계 성과 산출시 GPS 상시관측소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권역의 GPS 상시관측소 6개소를 상시관측망으로 설정하였으며, 상시관측망을 기준으로 산출한 세계측지계 성과를 최적의 성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BR>&nbsp;&nbsp;연구결과, 경상남도 권역의 안정적인 세계측지계 성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경상남도 권역에 분포된 GPS 상시관측소의 배치밀도와 관측지역별 지리적인 위치를 고려하여 관측지역을 가장 안정적으로 커버리지 할 수 있는 상시관측소 4개소를 기준으로 세계측지계 성과를 산출하는 방안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nbsp;&nbsp;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pplication of GPS Permanent Stations in Gyoungsangnam-do, for compare and analyze the World Geodetic Datum coordinates computed by using GPS Permanent Stations located Gyoungsangnam-do. To achieve the above study purpose efficiently, 6 GPS Permanent Stations located Gyoungsangnam-do is set up Permanent Stations Network and the optimum conditions is the World Geodetic Datum Coordinates computed by using GPS Permanent Stations Network.<BR>&nbsp;&nbsp;As a result of study, In order to compute stable World Geodetic Datum Coordinates in Gyoungsangnam-do, The desirable application is to compute 4 GPS Permanent Stations Network covered survey region, considering arrange density of GPS Permanent Stations and geographical positions of survey region.

요약<BR>ABSTRACT<BR>1. 서론<BR>2. 경상남도 권역의 상시관측소 현황 및 문제점<BR>3. 세계측지계 산출성과 비교 분석<BR>4. 결론<BR>〈참고문헌〉<BR>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