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대의상을 단순히 장식과 시각적 표현도구로 바라보지 않고 연출의 의도를 극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표현 가능한 도구로 보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공연전달의 새로운 연출 인식 도구로서의 무대의상을 재 인식해보고 다양한 소재 효과와 그 특성을 이해해 보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으로는 무대의상의 소재효과를 살펴보기 앞서 무대의상 창작 시 나타나는 다양한 제작기법을 정리해 보았다. 먼저 무대의상을 형태, 색상, 재질과 같은 조형적 기호와 사회문화적 기호의 재조합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해 보고 연출 분석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살펴본 후 무대의상이 연출의 구체적 암시 도구로서 바뀜에 따라 달라진 무대의상의 위상과 그 중요성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가며 연구하였다. 이어서 무대의상 소재효과의 정의 범위를 살펴보고 무대의상 제작에서부터 공연 그리고 보관에 이르기까지 무대의상 소재효과 특성을 여섯 개념으로 정리하여 (재생, 착시, 다가 표현성, 장인정신, 일시적 효용성, 모순적인 견고성)무대의상에 미친 기술적 미학적 결과 그리고 그에 따른 무대의상의 소재연출과 제작기법의 다양화 등을 분석해 보았다. 무대의상을 구체적인 제작기법과 소재활용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본 연구는 무대의상의 위상이 연출의도를 추론 해 볼 수 있을 정도의 독립적 공연 예술 작품으로 인정됨을 알 수 있었다.
Ⅰ. Introduction<BR>Ⅱ. Contenus et R?sultats<BR>Ⅲ. Conclusion<BR>Bibliographies<BR>《국문요약》<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