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폭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의 대부분은 폭력적인 영상과 관련하여 텔레비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들어 폭력적인 컴퓨터 게임과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만화 같은 출판매체가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독서분야임을 감안할 때, 무협ㆍ폭력 만화가 청소년의 폭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 인정되어야 한다.<BR> 그래서 이 연구는 여러 장르의 만화 가운데 폭력성 표현의 대표라 할 수 있는 무협ㆍ폭력만화를 이용하는 만 18세부터 만 19세의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무협ㆍ폭력만화에 대한 중독과 무협ㆍ폭력만화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폭력성에 관해 분석하였다.<BR> 연구의 결과, 무협ㆍ폭력만화에 의해 유발되는 폭력성은 무협ㆍ폭력만화에 대한 중독 정도가 심한 이용자일수록 더욱 폭력적으로 나타났다.<BR> 무협ㆍ폭력만화의 폭력성과 선정성에 대한 논의는 그간 끊임없이 있어 왔고 주 이용자가 청소년이라는 점에서 무협ㆍ폭력만화의 폭력성과 선정성이 이용자들의 폭력성향을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 또한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그 간의 논의들이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는 점에서 무협ㆍ폭력만화의 폭력성에 대한 논의에 의미를 부여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무협ㆍ폭력만화에 대한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폭력적 성향이 증대된다는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무협ㆍ폭력만화 중독에 대한 심각성을 수치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the violence of media have been related with the violent images of television, but lately studies are being carried out related with violent computer games. However, as youths prefer reading publishing media like comic books, it is required to research whether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can influence the violence of youths. So, this study analyzed the violence that was caused by reading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from boys of 18 to 19.<BR> This study shows that the violence caused by reading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is more and more excessive as the addiction to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is severe. The debate on the violence and nudity of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has been constantly existed in the meanwhile and the anxiety of inciting youths has been cropped up continuously. I think this study proved that the dispute on the violence of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is significant.<BR> This study shows the conclusion that the higher the addiction to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is, the more violent youths are. And I think this study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at it presents the seriousness of addiction to chivalrous and violent comics by mathematics.
Ⅰ. 서론<BR>Ⅱ. 청소년과 무협ㆍ폭력 만화의 현황<BR>Ⅲ. 이론적 배경<BR>Ⅳ. 연구방법과 분석결과<BR>Ⅴ. 결론<BR>참고 문헌<BR>〈Abstract〉<BR>
(0)
(0)